요즘 기업들이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관심이 많아졌다.
태양광과 풍력, 수소연료전지, 태양열, 바이오 등 우후죽순 그 자체다.
인프라가 부족하기 때문에 실효성을 논할 단계는 아니지만 아직 명확한 실체가 드러나지 않아 업계 실무자들의 반응도 시큰둥하다.
기업들은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한편으로 조속한 인프라지원을 바란다는 점에서 정부 대응이 가시적이지 않아 다소 아쉬운 점이 많다.
환경적 인프라 구축도 미비하면서 기업들간 과열경쟁만 부추기면 그 결과는 공급과잉으로 이어져 결국 피해는 기업들의 몫으로 돌아온다.
수익에 대한 보장도 확실하지 않다. 일부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주가급등이 과대해 불필요한 거품도 만만치 않다는 지적이 속출하고 있다.
유럽과 서방국가들이 신재생에너지에서 큰 효과를 보고 있는 것은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뒷받침해줄만한 환경적 바탕이 탄탄했기 때문이다.
'저탄소 녹색성장'의 깃발을 내민 정부의 이정표가 자칫 공급과잉으로 손가락질을 받을까 염려스럽다.
새 정부가 녹색성장에 매달리지 않으면 안된다고 밝힌 것처럼 녹색성장은 선택의 여지가 없는 유일한 살길인 만큼 정부가 나서 보다 활발한 투자로 인프라 구축에 적극 나서야 할 것이다.
이제는 국내 산업계가 '남도하니까 나도한다'는 단순논리에서 벗어나 좀더 객관적 시각으로 진단한 후 실행해야 할 것이다.
장기적 관점에서 에너지자원 확보는 기업들이 추진해야 할 사업은 맞지만 이제 시작단계인 만큼 섣부른 투자로 공급과잉과 주가거품만은 초래하지 않았으면 한다.
이미경 기자 esit917@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