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진보연대와 독도수호대 등으로 구성된 '학습지도요령 해설서의 독도명기를 규탄하는 시민사회단체'는 이날 일본대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일본 정부는 독도영유권 주장을 즉각 포기하라"고 요구했다.
이들 단체는 "독도는 역사적으로나 국제법적으로 명백한 대한민국의 고유영토이며 일본의 역사도 독도를 한국땅으로 기록하고 있다"며 "일본의 독도영유권 주장의 유일한 근거는 침략과 탐욕일 뿐"이라고 비난했다.
이들 단체는 "일본 정부의 유일한 선택은 독도영유권 주장을 포기하는 것"이라며 "일본은 죽도의 날을 폐지하는 것은 물론 한국의 배타적경제수역(EEZ)을 인정하고 학습지도요령 해설서에서 죽도문제를 삭제하라"고 재차 촉구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도 같은 장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일본의 독도영유권 명기에 대해 "독도침탈 행위이자 역사왜곡"이라며 강하게 비판하고 대사관 측에 항의서한을 전달했다.
교총은 성명서에서 "한일양국은 지난 4월 정상회담을 통해 미래지향적 한일관계 구축을 약속했지만 일본은 학습지도요령 해설서에 독도영유권 명기를 강행해 양국의 선린 우호관계를 부정하고 동아시아 평화조차 위협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교총은 향후 지속적인 항의집회와 대국민 서명운동을 벌이고 독도지키기대책위원회도 구성할 계획이다.
또 방학 중인 학생들에게 독도관련 과제물을 추가로 내 역사 바로알기 교육에 나서는 한편 일본 교원단체에 바른 역사교육을 촉구하는 뜻을 전달키로 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도 같은 곳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한국민들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일본의 제국주의적 도발에 끓어오르는 분노를 참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전교조는 일본에 독도영유권 주장 중단과 한국민에 대한 사과 등을 촉구했다.
독도수호범국민연대 회원 40여명도 이날 일본대사관 앞에서 '일본정부 사죄요구', '독도도발 중단' 등이 적힌 피켓을 들고 역사왜곡 규탄시위를 벌인 뒤 종이상자로 만든 모형 일본교과서를 불태우다 경찰에 제지를 받았다.
포털사이트 다음 토론방인 '아고라' 회원 50여명도 이날 서울 영등포구 한나라당 당사 앞에서 집회를 열어 집권당인 한나라당에 독도문제에 대한 강력한 대응을 촉구하기도 했다.
한편 '아고라' 자유토론방에는 일본의 독도망언을 비난하는 게시글과 함께 일본대사관 앞에서 촛불집회를 열자는 의견이 잇따르면서 이날 저녁 일본대사관 앞에서 네티즌 중심의 촛불집회가 이틀째 열릴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