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 21일 자금난을 겪고 있는 건설사에 대한 유동성 공급방침을 밝힌 가운데 건설업계가 임금동결 등 자구노력을 통해 위기 극복에 동참하겠다고 결의했다.
대한건설협회와 한국주택협회, 대한주택건설협회 등 건설 3단체는 22일 '건설업계 위기 대처를 위한 조찬 감담회'를 갖고 정부의 10·21 대책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며 업계도 이에 호응해 철저한 자구노력으로 경제 활성화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이날 건설 3단체 회장단은 '정부의 10·21 부동산대책에 대한 건설업계 의견'이란 발표문에서 "10·21 대책은 금융 위기와 건설 경기 부진 등으로 자금경색이 심화돼 부실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실현가능한 구체적 방안"이라고 평가하고 "건설업계도 정부의 대책에 적극 호응해 철저한 자구노력을 통해 경제 활성화와 당면한 금융위기를 극복하는 데 앞장 서겠다"고 다짐했다.
회장단은 구체적인 방안으로 ▲미분양 아파트 가격 인하 ▲보유 부동산 매각 ▲임금 동결과 조직합리화 등 기업구조조정 추진 등을 꼽았다.
회장단은 그러나 시장 여건상 건설업계의 유동성 위기를 해소하고 주택건설경기를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대책의 집행과정에서 보완 및 추가 조치가 뒤따라야 한다고 지적했다.
업계는 특히 시중은행이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등에 대한 만기를 연장해 주고 브리지론의 보증 범위를 확대해 줄 것을 요청했다. 또 한국토지공사의 분양택지 환매에 지방공사도 포함시켜줘야 한다는 게 업계의 요구다.
건설협회 관계자는 "브리지론의 경우 보증 해당 기업을 대기업까지 확대하고 보증 한도액도 1사당 70억원에서 연간 매출액의 4분의 1 범위 내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며 "보증 기관도 대한주택보증까지 확대해 1500억원 정도를 지원하면 보증 규모가 10조원까지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김신회 기자 raskol@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