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들은 5일 북한의 핵 불능화 작업 중단 및 핵시설 복구 움직임 이후 처음으로 중국을 방문, 북한과의 회동에 일말의 기대를 가졌지만 북한 측 수석대표인 김계관 외무성 부상은 결국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중국의 한 외교 소식통은 "김계관 부상이 방중하지 않는다는 것은 이미 예상됐던 일"이라면서 " 북한이 이미 강경 태도로 돌아선 이상 김 부상이 협상을 통해 얻어갈 수 있는 소득이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베이징에 집결한 한·미·일 3국의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들은 이날 잇따라 양자 및 삼자 회당을 갖고 북핵 대응방안을 모색했으며 6일 오전에는 각각 6자회담 의장이자 중국 수석대표인 우다웨이(武大偉) 외교부 부부장과 만나 적극적인 중재 노력을 중국에 요청했다.
김 숙 한반도 평화교섭본부장은 우 부부장과의 회동에서 협상 테이블에조차 나오지 않는 강경한 태도의 북한을 설득할 수 있는 방안을 숙의했다.
일각에서는 이 한·중회동에서 북한의 정권수립 60주년인 9.9절에 중국이 특사를 파견해 북한을 설득하는 방안이 검토됐을 것으로 관측했다.
미국 측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차관보는 우 부부장과의 회동 뒤 기자들과 만나 "우리의 초점은 검증 프로토콜(요구안) 문제를 마무리하는 것"이라면서 검증 프로토콜 수용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그때가 되면 우리는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북한을 즉시 삭제할 수 있다"고 밝히고 검증 프로토콜 문제는 "북한의 현재의 핵 활동에 대해 검증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향후에 우리가 어떻게 핵 프로그램을 검증하는지에 대한 규정을 만들고자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힐 차관보는 "중국이 이번 올림픽에서 많은 금메달을 딴 만큼 북핵 문제 해결에서도 또 하나의 금메달을 따기를 기대한다"고 말해 교착 상태에 빠진 6자회담의 돌파구를 여는데 의장국인 중국이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해줄 것에 대한 기대를 내비쳤다.
오성민 기자 nickioh@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