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 의존도 높은 전기차…공급망 구축 전략 세워야

2024-08-08 11:27
친환경차 시장 성장…산업 공급망 구조 변화
전동화 전환…수요 확대 부품 중심 전략 긴요
국내 제조업 경쟁력 강화·주요국 정책 모니터링

25일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가포신항에 수출용 차량이 수출품 선적 부두에 대기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내연기관 자동차와 전기 자동차의 공급망 구조 차이가 심화하며 글로벌 친환경 자동차 시장 확대는 자동차산업의 신 공급망 구축으로 이어지고 있다. 주요국들이 자국 중심의 공급망을 구축해나가는 가운데 우리나라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공급망 구축 전략을 세워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산업연구원은 8일 '전동화 전환에 따른 국내 자동차산업 공급망 구조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하고 국내 자동차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공급망 구축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제언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동화 전환으로 인한 전기차 생산 확대는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의 부품 공급구조 변화를 초래했다. 특히 전기차 핵심 부품인 이차전지와 구동 모터 등의 투입 비중이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부품의 국산화율이다. 전기차 생산을 위해 투입되는 부품의 국산화율은 내연기관차 대비 높은 수준이나 부품 생산을 위한 공급망 전반을 고려하면 전기차의 수입 의존도가 더 높기 때문이다.

산업연은 우리나라의 산업구조를 고려한 공급망 구축 전략 수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동화 전환에 따라 수요가 확대되는 주요 부품들을 중심으로 세부적인 고읍망을 분석하고 관련 부품이 국내 공급망 강화를 위한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제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친환경 자동차 수요 확대 방안 수립, 주요국 정책 동향 모니터링을 병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먼저 국내 자동차생산 변화를 보면 친환경 자동차 생산 대수는 지속적으로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전체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2018년 7.1%에서 2023년 27.2%까지 급증했다. 같은 기간 전기차의 비중도 1.6%에서 11.2%까지 오른 것으로 분석됐다. 이처럼 생산구조가 달라지자 국내 자동차산업의 부품 투입 구조도 변화하고 있다.

한국은행의 2020년 산업연관표를 보면 '승용차'가 '내연기관 승용차'와 '전기 승용차'로 구분된 것을 알 수 있다. 내연기관 승용차는 생산을 위한 투입 품목 중 '자동차 부분품'과 '자동차용 엔진' 비중이 가장 높았다. 반면 전기승용차는 전지가 최다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차량은 수입 의존도도 다른 것으로 조사됐다. 예컨대 두 제품 모두 투입 비중이 높은 '자동차 부분품'의 수입 비중은 각각 10.4%와 13.0%로 집계됐다. 제조업 관련 품목 전체의 중간재 투입구조를 보면 제조업 관련 중간재 투입액 중 수입액이 차지하는 비중이 내연기관 승용차는 13.5%였으나 전기 승용차는 7.9%에 불과했다.

송명구 산업연 연구위원은 "이는 전기차 생산을 위해 직접적으로 공급되는 부품의 경우 내연기관차 대비 높은 국산화율을 달성하는 것을 나타낸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부품 생산 등을 위한 소재나 부품을 포함하는 광의의 공급망을 고려하는 경우 이와 대비되는 결과가 도출됐다. 제조업 관련 품목 전체의 수입유발계수 합계를 살펴보면 전기승용차가 0.280로 내연기관 승용차(0.221)보다 높게 나타났다. 

전기 승용차에 직접적으로 투입되는 부품의 경우 국산 비율이 높았다. 하지만 이러한 부품을 제조하기 위해 공급되는 소재나 부품 등을 포함한 '광의의 공급망'을 살펴보면 전기 승용차의 수입 의존도가 더 높은 셈이다.

내연기관차와 전기차 간 공급망 구조 차이로 글로벌 친환경 자동차 시장 확대는 자동차산업의 새로운 공급망 구축을 초래하고 있다. 이에 주요국들은 자국 중심의 공급망 구축을 통해 산업 경쟁력 강화에 나서는 상황이다.

산업연은 친환경 자동차 시장에서 산업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변화하는 자동차산업과 우리나라 산업구조를 고려한 공급망 구축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제언한다.

송 연구위원은 "전동화 전환에 따라 수요가 확대되는 주요 부품들을 중심으로 세부적인 공급망 분석과 관련 부품의 국내 공급망 강화를 위한 세밀한 전략 수립이 요구된다"며 "주요국 정책 동향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대응 방안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