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 홀대 금융정책] "은행권 빼면 초라"···2금융 갈아타기 활용 지지부진
2024-06-26 18:00
갈아타기 서비스 2금융 참여사 10개→24개 늘어도
시중은행 유입액 은행별 100억원대 수준에 머물러
금융당국 "금리부담 경감 기대"···고신용자만 수혜
'N대 1' 대환 도입도 진척 無···은행, 수동적 입장만
시중은행 유입액 은행별 100억원대 수준에 머물러
금융당국 "금리부담 경감 기대"···고신용자만 수혜
'N대 1' 대환 도입도 진척 無···은행, 수동적 입장만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상위 대출비교 폴랫폼인 네이버페이·카카오페이·토스·핀다와 제휴해 갈아타기(신용대출·주택담보대출) 서비스에 참여하고 있는 2금융권 회사는 총 24개사로 출시 초기(14개사)와 비교해 10개사(71%)가 늘었다.
그러나 업체수가 늘어도 대부분의 대출 갈아타기는 1금융권 내 이동이었고, 2금융에서 1금융으로 이동하는 경우는 극히 일부였다. 예컨대 지난해 5월 갈아타기 서비스 출시 이후 지난달 말까지 2금융 이용자가 신용대출 갈아타기를 통해 A 시중은행으로 넘어간 금액은 147억원에 머물렀다. 또 다른 시중은행인 B은행의 경우 유입액이 120억원에 불과했다. 주담대 대환대출 서비스 역시 2금융권에서 참여하고 있지만,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다. 대환대출 합산 이동 규모가 10조원을 웃도는 점을 고려할 땐 제한적이었다.
당초 금융당국에선 은행권, 2금융권 구분 없이 금융소비자의 금리 부담을 덜어주겠다고 공언했다. 하지만 신용도가 다른 업권(2금융→1금융) 간 이동은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밖에 없는데, 당국이 신용보강 등의 지원 사다리 없이 시스템만 만들고 이동이 가능하다고 공언한 것은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2금융권 관계자는 "금융사 간 리스크를 판단하는 기준도 다른데, 최근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이라 업권 간 대출을 옮기는 건 사실상 불가능한 얘기"라며 "2금융권 내 갈아타기도 쉽지 않다. 금리를 낮추고자 하는 2금융권 고객은 대부분 신용이 좋지 못해 높은 금리를 낮추길 원하지만, 이를 받아줄 금융회사가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여기에 2금융 갈아타기 수요를 촉진할 수 있는 'N대 1' 대환 도입도 지지부진하다. 금융위원회는 지난해부터 여러 개의 대출을 하나로 묶는 'N대 1' 대환 방식을 검토했으나, 이렇다 할 진전을 만들지 못했다. 현재 갈아타기 서비스는 1대 1 대환만 가능하다. N대 1 대환이 가능해지면 금리 경쟁 외 대출 개수를 줄이려는 수요가 늘고, 다중채무를 진 저신용자는 대출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채무 관리가 쉬워진다.
현재 기술적으로 N대 1 서비스 도입은 가능하다. 하지만 금융위는 주담대 범위 확대 등 갈아타기 서비스 확장에도 버거운 탓에 N대 1 서비스는 후순위로 밀려난 상태다. 은행권에서는 N개의 대출을 묶는 과정에 리스크가 있다 보니 굳이 먼저 나설 이유가 없다는 분위기다. 은행권 관계자는 "당국의 앞선 요구사항을 쫓기도 버거운 상황"이라면서 "(N대 1 대환은) 당장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