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대출 갈아타기 쉬워진다···'대환대출 시스템' 구축 추진
2022-11-14 10:59
금융위 "대출비교 플랫폼, 금융회사·핀테크사 경쟁 시킬 것"
"대형사 위주 은행권 참여 의사 확인···시범운영 기간 도입"
"대형사 위주 은행권 참여 의사 확인···시범운영 기간 도입"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14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제4차 금융규제혁신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사진= 금융위원회]
내년 5월부터 금융회사에서 대출받은 소비자가 손쉽게 유리한 조건의 상품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금융당국은 금융회사·핀테크 간 플랫폼 경쟁으로 비교·추천 서비스의 질을 제고한다는 방침이다. 은행 업계도 당국발(發) 플랫폼에 강제로 참여하는 게 아니라면 충분히 수용할 수 있다는 반응이다.
금융위원회는 금융소비자 이자 부담 경감을 지원하기 위해 온라인 대환대출 이동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14일 밝혔다.
금융위는 가계대출 금리가 9년여 만에 최고 수준으로 올라섰지만, 대환대출 시장은 금융회사 간 인프라 미비, 제한적인 대환대출 상품 공급 등으로 참여가 저조한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금융위는 "손쉽게 더 낮은 금리의 대출로 이동할 수 있도록 대환대출의 활성화를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간 은행 업계는 한 특정 업체의 대환대출 플랫폼에 강제로 종속되는 것을 우려했는데, 이번 방안에선 금융회사가 대환대출 상품 공급자뿐만 아니라 대출비교 서비스의 제공자로서 대환대출 시장에 참가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통해 비교추천 서비스의 질이 제고되고, 소비자 편익 역시 증가할 것으로 금융위는 기대하고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대환대출 플랫폼은 비교·이동 두 가지로 대별되고, 비교 플랫폼은 금융회사들도 함께 참여해 경쟁할 수 있다"면서 "대형사 위주의 은행권 참여 의사를 확인했으며, 경쟁 등을 통해 적정 수수료 협의가 진행될 여지가 있다"고 전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도 이번 발표에 대해 "관 주도의 대환대출 플랫폼에 강제로 참여하는 게 아니고, 플랫폼을 선택할 수 있다는 특별히 유리하거나 불리한 내용은 없어 보인다"며 "플랫폼 경쟁도 있으나, 플랫폼에 등재되는 상품이 어떤 상품일지에 따라 경쟁 구도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