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국산 헬기 '수리온' 200여대 실전배치 완료

2024-06-24 11:26
육군 전력화 마쳐…공중강습작전·화물공수·지휘통제 등 임무

한국형기동헬기(KUH-1) 수리온이 2023년 10월 16일 경기 성남시 서울공항에서 열린 ‘서울 ADEX 2023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 2023)’ 미디어데이 행사에서 시범비행을 선보이고 있다.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국내에서 최초로 개발된 헬기인 한국형기동헬기(KUH-1) 수리온 200여 대의 실전배치가 24일 완료됐다.
 
방위사업청에 따르면 수리온 사업은 육군에서 운용 중인 노후화된 기동헬기 UH-1H와 500MD를 대체하고 국내 헬기산업 육성을 목표로 시작됐다.
 
2006년부터 2012년까지 체계개발을 완료해 한국은 세계에서 11번째로 헬기를 개발한 나라가 됐다. 체계개발에는 국방과학연구소(ADD)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이 참여했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이 체계를 통합해 개발을 마쳤다.
 
2012년 12월 수리온 1호기가 육군에 최초로 인도됐다. 이후 올해 6월까지 4차례에 걸친 양산 사업을 통해 육군에 순차적으로 200여 대가 인도됐다.
 
수리온은 공중강습작전 및 화물공수, 지휘통제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첨단 임무장비를 장착해 생존성이 크게 향상됐다. 전천후 정밀 항법도 가능하다. 여기에 자동비행조종시스템으로 조종사의 안전성도 증대됐다.
 
최신 3차원 전자지도, 통합헬멧시현장치, 4축 자동비행조종장치 등을 장착해 주·야간 악천후에도 전술 기동을 할 수 있다. 로터계통, 조종석, 엔진, 연료탱크 등 비행안전 필수 부분에 내탄 능력을 부여하고 모든 계통은 이중화 구조로 제작해 결함 시 백업(복구)시스템이 작동되는 등 안전성이 확보됐다.
 
현재 수리온 동력전달장치의 국산화가 진행 중이며, 향후 조종사 및 승무원의 생존장비 등에 대한 성능개량 등이 계획돼 있다.
 
조현기 방사청 기반전력사업관리본부장은 “첨단 기술 발전 추세에 맞춰 수리온 헬기의 지속적인 성능개량을 실시할 예정”이라며 “이와 더불어 수리온이 해외에서도 힘찬 날갯짓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며 수출 의지도 나타냈다.
 
KAI는 지난해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 에어쇼와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에 수리온 실물을 선보였으며 현재 중동과 동남아 국가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한편, 수리온과 한국형 초음속 전투기 KF-21 관련 자료 등 군사기밀을 판매한다는 텔레그램 계정이 등장해 군과 국가정보원, 경찰이 합동 조사 중이다. 방위산업기술보호법은 부정한 방법으로 방위산업기술을 취득해 사용 또는 공개하는 경우 10년 이하 징역 또는 10억원 이하 벌금에 처하도록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