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전력수요 역대 최대치 기록할 듯…전력당국 수급관리 '비상'

2024-06-20 11:05
산업계 조업률 회복하는 8월 2주차 최대 전망
정부 "97.2GW 상한전망 값"…104.2GW 확보
하절기 에너지바우처 단가 평균 1만원 상향

서울의 한 건물에 설치된 에어컨 실외기들. [사진=연합뉴스]
올여름 살인적인 폭염이 예고된 가운데 전력 수요가 역대 최대치인 97.2GW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20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전력 당국은 이번 여름 최대전력수요를 92.3GW(기가와트)로 예측했다. 또 최대 전력 수요는 산업계 휴가 기간 이후 조업률이 회복되는 8월 2주차 평일에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산업부는 최대 97.2GW까지 전력수요가 상승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수도권 무더위로 냉방 수요가 높아지고 남부지방에 구름이 유입돼 태양광 이용률이 낮아지는 상황에서는 전력수요가 상한전망 값에 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97.2GW는 상한전망 값으로 폭염 시 발생하는 상한전망이 시현되면 역대 최대(수요)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력 당국은 올여름 최대 104.2GW의 공급능력을 확보한 상태다. 지난 4월 상업 운전은 시작한 신한울 2호기를 비롯해 총 21기의 원전을 가동할 전망이다. 

발전기 고장, 이른 폭염 등의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수급관리 대책도 마련했다. 예비력이 부족해지면 울산GPS복합, 통영천연가스 등 새로 건설한 발전기의 시운전을 투입한다. 이에도 부족할 경우 수요자원(DR), 석탄발전기 출력 상향운전, 전압 하향조정 등 최대 7.2GW의 비상예비자원을 가동한다.

전력 수요관리도 병행한다. 공공기관은 다음 달 3주부터 8월 3주까지 피크시간대(오후 4시 30분~오후 5시 30분)에 냉방기를 30분씩 정지한다. 예비력이 5.5GW 미만이 될 것으로 예상되면 실내온도 기준을 상향 조정한다.

또 지난 16일 고위당정협의회에서 논의한 대로 취약계층 하절기 에너지바우처 단가를 현행 세대 평균 4만3000원에서 5만3000원까지 올린다. 고효율기기 보급 규모 확대 등 냉방비 부담 완화 지원 정책도 진행한다.

월 10만원 이상 전기요금을 납부하는 주택용 전기 소비자와 일정 증빙을 갖춘 소상공인·뿌리기업에 대해 7~9월분 전기요금을 2~6개월간 분할 납부하는 제도도 시행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달 24일부터 9월 6일까지 '여름철 전력수급 대책기간'으로 정해 유관기관과 '수급대책 상황실을 운영할 것"이라며 "실시간 수급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위기 시 예비자원을 즉시 투입해 수급을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