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동운 "채 상병 사건, 진실 파헤칠 때까지 법과 원칙에 따라 조사"

2024-06-04 17:20
통화기록 확보 발언..."특별히 누구를 지칭한 건 아니지만 중요한 자료 멸실되기 전 확보해야"
수사 늘어지고 있다 비판에 "동의할 수 없어...제한된 수사 인력으로 열심히 수사"

오동운 신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장이 28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에서 김진표 국회의장을 예방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오동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장이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 사건 수사 외압 의혹 수사에 대해 "방향을 정해놓고 하는 게 아니라 진실을 파헤칠 때까지 법과 원칙에 따라서 열심히 조사할 예정"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4일 오 처장은 오후 3시 대검찰청을 방문해 이원석 검찰총장을 예방한 뒤 채 상병 수사 종료 시점을 두고 "그런 부분은 구체적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며 이같이 말했다.

오 처장은 전날 통화기록 확보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한 것을 두고는 "특별히 누구를 지칭하는 건 아니다"라며 "수사 원칙상 중요한 자료가 멸실되기 전에 그런 부분들을 확보해 수사가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하겠다는 의지"라고 말했다.

또 압수수색 등과 같은 강제 수사 여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말씀드리기 어렵다"며 "보고도 받고 했으니 원칙대로 일이 잘 처리되도록 열심히 하겠다"고 원론적인 입장을 밝혔다.

또 윤석열 대통령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과의 통화 사실이 알려짐에 따라 대통령실 관계자 소환이 임박했다는 여론에 대해서도 "국민 관심사인 사건을 열심히 수사하겠다"고 역시 원론적인 답만 되풀이했다.

다만 오 처장은 채 상병 사건 수사가 너무 늘어지고 있다는 일각의 지적에 대해서는 "동의하지 않는다"며 "제한된 수사 인력으로 매우 열심히 수사하고 있다. 기우에 그칠 수 있도록 열심히 하겠다"고 수사 의지를 드러냈다.

이날 이 총장을 만난 오 처장은 공수처의 수사력 보강을 위해 검사들을 파견받는 방안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이에 대해 "헌법재판소에 법관들이 헌법연구관으로 파견되면서 헌재가 반석 위에 올라가는 데 큰 역할을 하지 않았느냐"며 "기관 간 견제와 균형을 떠나서 공수처의 수사 역량에 대한 기존 비판과 관련해서 유능한 검사님들을 제한적으로 파견받는 것도 굉장히 바람직하다고 말씀드렸다"고 말했다.

아울러 "공수처는 관련 사건 피의자에 대한 수사권이 제한되기에 수사협의체를 만들어 검찰과 협조가 필요하다고 말씀드렸다"며 "총장께서도 굉장히 긍정적으로 말씀하셨고 가시적인 성과도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오 처장은 채 해병 수사와 관련해 앞서 여러 번 수사의지를 드러내며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최근 윤 대통령이 개인 휴대전화로 이 전 장관과 통화한 사실이 알려지자, 야권을 비롯해 시민단체에서 오는 7월에 만료되는 통화기록을 하루 빨리 공수처가 확보해야 한다는 여론이 강하게 일고 있다.

이에 대해 오 처장은 전날 이종석 헌법재판소장을 예방한 뒤 "시한이 있는, 급한 문제는 통화기록 확보(가 우선)이기 때문에 그 부분을 빈틈없이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며 "7월에 통화기록 (보존) 시한이 끝나기 때문에 놓치는 점이 없도록 통화기록 확보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