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수도권 아파트 분양전망 '흐림'...PF 부실관리·고금리 영향

2024-06-04 16:23

서울의 한 아파트 재건축 현장. [사진=연합뉴스]
6월 수도권 아파트 분양시장 전망이 지난달에 이어 약세를 보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구조조정 여파로 분양 시장 회복이 쉽지 않은 데다 올해 금리 인하의 가능성을 예측하기가 어려운 점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4일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이 발표한 '6월 아파트분양전망'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분양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0.1포인트(p) 상승한 83.0을 기록했다. 

분양전망지수는 주택산업연구원이 주택사업자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를 수치화한 지수다. 100보다 크면 시장 전망이 좋다는 응답이 많았다는 뜻이고, 100보다 작으면 그 반대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전월 대비 3.7p 하락한 86.9를 나타냈으며, 비수도권은 0.9p 오른 82.2를 기록했다. 수도권에서는 서울(97.7→94.7), 경기(90.2→89.2), 인천(83.9→76.7) 모두 지수가 하락했다. 두 달 전인 지난 4월 미분양 주택 물량이 전월 대비 59.6% 증가한 인천의 경우 하락 폭이 7.2p에 달했다.

주산연은 "5월 정부가 발표한 PF 부실 사업장 관리 대책과 미국 기준금리 인하 연기 전망에 따른 금리 상승 가능성 때문에 사업자들이 시장 위축을 전망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지방의 경우 지역별로 차이를 보였다. 지역별로 지난 5월 분양된 아파트 청약 결과의 차이와 6월 분양예정 아파트에 대한 기대감이 혼재돼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강원(78.6→92.3), 전북(81.3→92.9), 대전(69.6→81.0), 경북(84.2→93.3), 세종(88.2→94.4), 부산(81.8→84.6), 광주(66.7→68.2) 등은 지수가 전월 대비 상승했다. 반면 충남(88.9→75.0), 제주(90.5→80.0), 대구(80.8→73.1), 경남(88.9→82.4), 울산(75.0→72.2), 전남(70.6→68.8), 충북(92.9→92.3)은 하락했다.

5월 분양가격 전망지수는 지난 달(114.3)보다 2.9p 떨어진 111.4로 나타났다. 여전히 기준치(100)를 웃도는 수치로 아파트 분양가격의 상승 폭은 둔화됐지만, 인건비·건설 원가 상승 폭이 영향을 미쳐 가격은 계속해서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분양물량 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4.3p 내린 102.9로 집계됐다. 미분양물량 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10.3p 오른 110.3을 기록, 미분양 아파트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주산연 관계자는 "분양물량 전망지수는 6월 전국 분양예정 물량이 전년 동월 대비 104% 늘어나는 것이 영향을 미쳐 증가 폭은 둔화됐지만 전월 대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며 "미분양 물량이 늘어난 상태에서 금리 상승추세 전환에 따라 대출 부담이 커지고 중도금·잔금대출 제한이 풀리지 않는 영향으로 미분양물량 전망지수가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