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으로 보는 오늘의 대한민국(2024년 6월 3일자)

2024-06-03 07:49

1992대 134대 36. 2022년 기준 중국과 일본, 한국의 아프리카 지역 7대 핵심 광물 광산 보유 수다. 중국은 차치하고 일본과 비교해도 27% 수준에 그친다. 

한·중·일 3국 간 각축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지만, 유독 아프리카를 상대로는 우리나라가 힘을 쓰지 못하는 상황이다. 4~5일 열리는 한·아프리카 정상회의를 계기로 통상·교역과 공급망 협력에 새 장을 열어야 한다는 주문이 빗발치는 이유다. 

전 세계 광물 매장량 중 30% 이상을 차지하는 아프리카는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핵심 원자재 공급처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특히 리튬·코발트·흑연 등 7대 핵심 광물 수급 안정을 위해 주요국들이 저마다 아프리카 공략에 공을 들이는 상황이다. 

중국은 지난해 아프리카 지역 일대일로 프로젝트에 217억 달러를 쏟아부었다. 그해 중국·아프리카 무역액은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한 2821억 달러를 경신했다. 역대 최고치다. 일본과 아프리카 간 교역 규모 역시 지난해 기준 2조9163억엔(약 185억4261만 달러) 수준을 기록했다. 

문제는 우리나라다. 한국·아프리카 교역액은 1988년 9억 달러에서 지난해 165억9718만 달러로 약 19배 급증했지만 전체(1조2747억 달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3%에 불과하다. 8개 대륙 중 교역 규모 7위다. 

핵심 광물에 대한 원활한 수급을 비롯해 공급망 안정, 수출처 다변화, 개발 사업 수주 등에 있어 아프리카가 최대 시장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큰 만큼 정부는 아프리카 내 광물 부국과 양자 외교를 강화해 민간 협력 기반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아주경제 1면
아주경제 2면
아주경제 3면
아주경제 22면
아주경제 23면
조선일보 1면
중앙일보 1면
동아일보 1면
매일경제 1면
한국경제 1면

신문으로 보는 오늘의 대한민국(2024년 6월 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