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운용사 밸류업 간담회…"연기금 통한 참여 독려 효과적"

2024-05-14 15:18
"밸류업·행동주의로 美·日 따라잡을 수 있다"

14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 중회의실에서 '자본시장 밸류업 자산운용사 임원 간담회'에서 참석자들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금투협]

금융투자협회는 14일 '자본시장 밸류업 자산운용사 임원 간담회'를 열었다고 밝혔다.

간담회는 최근 발표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금융투자업계의 의견을 청취하고, 자본시장 밸류업을 위한 금융투자업권의 적극적인 역할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창화 금융투자협회 전무와 8개사 자산운용사 임원(라이프자산운용·미래에셋자산운용·VIP자산운용·블랙록자산운용·삼성자산운용·KB자산운용·트러스톤자산운용·한국투자신탁운용)과 한국거래소, 자본시장연구원 등이 참석했다.

이 전무는 "자본시장 밸류업은 저성장·저출생으로 인해 어려움에 직면한 우리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중요한 과제"라며 "협회 차원에서도 기관투자자와 기업이 상생할 수 있는 정책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으로 국내 증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것이란 평가가 나왔다.

정상진 한국투자신탁운용 본부장은 "가이드라인 발표 이후 구체성이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시각들이 있었으나 이와 달리 다수 상장기업은 적극적인 주주가치 제고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며 "지금은 정부의 밸류업 프로그램과 민간의 액티비즘(Activism)이 합쳐진 상황으로 과거 미국이 100년, 일본이 20년간 겪었던 과정을 우리도 수년 내에 급격히 따라잡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문일권 미래에셋자산운용 본부장은 "기업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주주환원 정책 확대, 투명성 강화, 지배구조 개선은 외국인 투자자들의 국내 증시에 대한 관심을 제고할 수 있다"며 "부동산에 집중돼 있는 가계 자산 구조 포트폴리오 다양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했다.

박영수 VIP자산운용 부사장은 "국내 저평가된 기업들을 장기간 보유하면서 '설득과 권유'를 통해 인게이지먼트(Engagement)하는 유형으로 해외투자자의 투자자금을 유치했다"며 "아쉬운 주주 정책 때문에 저평가된 기업에 대해 맞춤형 컨설팅, 경영진 면담 등을 진행해나갈 것"이라고 했다.

연기금의 역할도 강조됐다. 이성원 트러스톤자산운용 부사장은 "연기금이 위탁운용사를 통해 '넛지'(Nudge) 형태로 상장기업들의 밸류업 프로그램 참여를 독려하는 것도 효과적인 수단이 될 것"이라며 "자산운용업계도 이러한 흐름에 맞춰 인게이지먼트 활동에 과거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배문성 라이프자산운용 이사는 "연기금, 공제회는 인게이지먼트 활동 관련 트랙레코드와 보유인력 등을 위탁운용사 선정 시 주요한 평가지표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금투협은 오는 16일 국내·외국계 증권사 임원 간담회를 여는 등 자본시장 밸류업을 위한 업계 소통 노력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