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당국이 하래서 하곤 있는데…주기형 주담대 왜 늘려야하죠?"
2024-05-02 06:00
3년 지나면 중도상환수수료 사라져
5년 안에 대출 갈아타기 대부분
기준금리 인하 코앞인데…혼합형 유리할수도
5년 안에 대출 갈아타기 대부분
기준금리 인하 코앞인데…혼합형 유리할수도
금융당국이 최근 고정금리형 주택담보대출(정책상품 제외) 비중을 30%까지 높이라고 주문하면서 은행들이 관련 지시를 따르고는 있다. 하지만 내부적으론 해당 정책 실효성에 의문을 표하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사실상 5년 주기로 고정금리를 산정하는 주기형 주담대 상품을 늘리라는 지시인데, 3년이 지나면 중도상환수수료가 사라지고 대출 갈아타기가 가능해져 5년 금리 형태가 중요치 않기 때문이다. 여기에 국내와 미국 통화당국이 금리인하 시점을 조율하고 있어 혼합형(5년 고정금리 후 6개월 변동금리로 전환 방식) 방식이 주기형 주담대를 택하는 것보다 더 이로울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은행은 지난 2월말 주기형 주담대를 도입했다. 지난달 말에는 NH농협은행이 주기형 상품인 'NH주택담보대출'를 내놨다. 양사 모두 그간 혼합형과 변동형(6개월마다 금리 변동) 주담대만 운영해 왔지만, 올해들어 첫 주기형 주담대를 내놓은 것이다. 기존부터 주기형 상품을 운영해왔던 나머지 시중은행들은 관련 상품 금리를 변동·혼합형보다 내리며 관련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우리은행의 경우 최근 주기형 주담대 금리(3.87~5.07%)가 혼합형(5.09~5.48%)보다 금리 하단이 1.22%포인트 가량 낮았다.
이같은 움직임은 당국이 주담대 체질 개선을 요구한 영향 때문이다. 이전에는 주기형과 혼합형까지 고정금리 방식으로 당국이 인정해줬지만, 소비자 금리변동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주기형만 고정금리로 인정하고 해당 비율을 30%까지 맞추라고 주문한 것이다. 물론 순수고정형도 존재하지만, 정책상품 외 은행 자체적인 순수고정형 상품은 없다.
아울러 연내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커진 상황 속, 5년 후 또다시 5년간 고정금리를 택할 소비자가 얼마나 있을지 의구심을 품는 견해도 나온다. 은행권 관계자는 "당장 변동금리 상품을 택하는 것은 리스크가 있을 수 있지만, 최근 통화 흐름상 5년간 고정금리 후 또다시 고정금리를 택할 소비자는 아마 없을 것"이라며 "오히려 혼합형을 택하는 것이 추후 소비자들에게 이로울 수 있다. 아울러 은행들이 무리하게 주기형을 확대했다가 기준금리 등이 빠르게 인하될 경우 소비자들의 금리 리스크는 더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