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농업이 미래성장 산업"…"농업로봇 상용화 박차"

2024-02-19 11:00
2026년까지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지구 9개소 조성
이상 기후에 수급안정 대응…"채소·과수도 예찰"

조재호 농촌진흥청장이 2일 전북혁신도시 농촌진흥청 영상회의실에서 전 세계 22개국에 파견 중인 KOPIA 센터 소장들과 영상회의를 하고 있다.[사진=농촌진흥청]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인력 부족 문제를 겪고 있는 농산업 분야의 지속 성장을 위해 농촌진흥청이 밭 농업 전 과정의 기계화와 자율주행 농업로봇 개발에 나선다. AI(인공지능) 기반의 스마트농업 구축을 위해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지구'를 2026년까지 9개소를 조성한다는 목표다. 

농진청은 19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4년 주요 업무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농진청은 기후변화 대응과 저탄소 실현을 위한 정책강화, 인력부족 문제를 농업·농촌의 어려운 여건으로 꼽으며 △농산업 현장 애로 해소 △농업 분야 공공 R&D 강화 △미래 신성장 동력 확충 △농촌 활력화 및 국제기술 협력 등 네 가지 과제를 올해 중점 추진하기로 했다. 

먼저 농촌 일손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늘, 양파 등 수요가 많은 작물 중심으로 일관 기계화 현장 실증 확대를 추진한다.  마늘 수확기(3개소), 양파 정식기(3개소) 성능 개선을 위한 현장 실증과 고추·배추 정식기의 국산화에 나선다. 

과수원에 특화된 자율주행 로봇 상용화를 지원하고, 로봇팔 제어 기술 연구과 국산 로봇 착유기의 농가보급을 확대할 방침이다. 

병해충과 가축 질병 대응하기 위해 예찰·방제 체계를 사후 대응에서 사전 예방 방식으로 개선한다. 현재 벼에만 국한된 중앙예찰단의 예찰 대상을 주요 채소와 과수로 확대하고 고위험 병해충 대응연구과 농작물 피해 발생 시 신속 대응 서비스를 늘린다는 계획이다. 

농산물 수급 안정을 위해 주요 작물의 생산량 예측을 고도화하고 저장 기한을 늘릴 수 있는 ‘능동형 시에이(CA) 저장 기술’ 보급도 확대한다. 

곡물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 이번 정부에서 중점 추진 중인 가루쌀은 신품종 육성과 재배 기술을 확립을 추진한다. 제빵용, 면용 등 식미를 개선한 소비자 선호용 국산 밀 품종 육성과 수량성과 내습성을 향상한 논 콩 품종도 개발하기로 했다. 

이상 기후에 대비해 농업 기상·재해 조기경보 서비스’ 지역을 지난해 75개 시군에서 올해 110개 시군으로 늘리고 농촌 미세먼지 발생을 줄이기 위한 ‘마을별 찾아가는 영농부산물 파쇄 사업’을 올해 새롭게 추진한다. 

스마트농업 분야에서는 ‘농업 연구개발 정보 플랫폼’ 활용을 지방농촌진흥기관으로 확대하고 농가 대상의 스마트농업 현장 교육과 디지털 교육시스템을 도입하기로 했다. 

우리나라 농업 기술을 전파해 국제사회 식량안보에도 기여한다. 아프리카에 우리 쌀을 재배하는 정부의 'K-라이스벨트' 사업과 연계해  ‘아프리카 벼 우량종자 생산사업’(라이스피아)을 추진하고 해외시장 진출용 고부가 종자·소재 사업화를 위한 한·우루과이 협력연 구실도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내부적으로는 중복과제 최소화, 융복합 규모화 등 기관 고유 과제를 재편하고 혁신적·도전적 연구 환경 조성을 위한 실패 용인, 정성 평가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 

조재호 농촌진흥청장은 "우리 농업·농촌이 마주한 어려운 문제 해결에 민관 구분이 있을 수 없다"며 "농산업 현장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미래 신성장 동력 확충 등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