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A 임무 지원한 韓 다누리, 달 착륙 후보지 지도 만들었다

2023-09-20 12:27
다누리 섀도캠 활용해 달 남극 영구음영지역 지도 제작
임무 초기부터 NASA와 공조...양국 우주 협력 강화
2024년 미국 극지방 탐사 차량 임무에도 지도 활용

NASA가 공개한 달 남극 섀클턴 분화구 모습. 이를 촬영하는 데 다누리 섀도캠이 활용됐다. [사진=NASA]
한국형 달 궤도 탐사선 '다누리'가 달 착륙 후보지 중 하나인 '섀클턴 분화구(Shackleton Crater)' 모습을 보내왔다.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협력해 탑재한 영구음영지역 카메라(섀도캠)로 얻은 성과다. 이는 한국과 미국이 우주 영토 개척을 위한 공조 체제를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19일(현지시간) NASA는 달 남극에 위치한 섀클턴 분화구 일대 지도를 완성했다고 밝혔다. 지도를 만드는 데는 2009년부터 활동 중인 달 정찰 궤도 카메라(LROC)와 다누리에 탑재한 섀도캠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

달 남극 일부 지역은 햇빛이 닿지 않는 영구음영지역이다. 그동안 이 지역에는 얼음 형태로 물이 있을 것으로 예상됐다. 따라서 달 착륙은 물론 장기적인 달 거주를 위한 핵심 거점으로 꼽혔다. 미국도 차세대 달 착륙 프로젝트인 아르테미스 계획을 통해 이 지역에 전초기지를 세울 예정이다.

하지만 빛이 닿지 않기 때문에 그간 해당 지역 모습을 확인하기 어려웠다. 이에 NASA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협조해 지난해 8월 발사한 다누리에 섀도캠을 탑재했다. 그 대가로 한국은 NASA가 보유한 심우주 통신망을 활용해 다누리 항행을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었다. 섀도캠은 LROC 대비 200배 이상 빛에 민감한 카메라로, 어두운 달 남극도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다. 대신 빛이 드는 지역은 과노출로 정확한 사진을 얻기 어렵다.

NASA는 LROC와 다누리 섀도캠으로 촬영한 정보를 합성해 달 남극 지도를 완성했다. 두 카메라 특성을 활용해 가장 밝은 부분과 가장 어두운 부분의 지형과 지질학적 특징을 모두 담았다는 것이 NASA 측 설명이다. 섀클턴 분화구 내부 바닥과 벽 등도 섀도캠을 통해 자세하게 표현했다.

과학계에 따르면 이 지역은 그간 인간이 탐사한 적이 없는 곳이다. 지도를 활용해 수십억 년 동안 퇴적된 얼음이나 여러 휘발성 물질이 고체 상태로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만큼 전 세계 천문학자들 이목이 쏠리고 있다. 달과 태양계가 어떻게 진화했는지 이해할 수 있는 실마리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에 제작한 지도는 2024년 달에 착륙할 극지방 탐사 차량 '바이퍼' 임무에도 활용한다.

한편 다누리는 2025년 12월까지 달 궤도를 돌며 임무를 수행한다. 한국 달 착륙 계획을 위한 후보지를 찾는 것은 물론 티타늄이나 헬륨-3 등 주요 자원 위치도 탐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