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한·일 관계 개선에 기사회생 하나···양국 재계 징검다리 자처
2023-03-15 05:50
尹 방일 일정 맞춰 '게이단렌'과 간담
강제징용 대책 발표 후 청년기금 조성
재계선 "4대 그룹 탈퇴로 동력 부족"
강제징용 대책 발표 후 청년기금 조성
재계선 "4대 그룹 탈퇴로 동력 부족"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윤석열 대통령의 한·일 경제협력 강화 정책에 맞춰 양국 정·재계의 징검다리 역할을 자처하고 있다. 전임 문재인 정부 시기 정치권으로부터 패싱 지적마저 나왔던 전경련이 일본과의 징검다리 역할로 탈퇴한 4대 그룹을 복귀시키고 주요 경제단체의 수장으로 다시 부상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14일 재계와 정치권에 따르면 전경련과 일본 게이단렌(일본경제단체연합회)은 오는 17일 일본에서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개최를 추진하고 있다.
이는 윤 대통령의 방일 일정에 맞춰 진행될 예정이다. 윤 대통령은 일본 정부 초청에 따라 오는 16~17일 일정으로 일본을 방문해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진행한다.
아울러 양 단체는 최근 양국 청년 세대를 위한 '미래청년기금'(가칭) 조성에 협력하기로 했다. 이 역시 정부가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들에게 국내 재단이 대신 판결금을 지급하겠다는 피해배상 해법을 발표한 직후 뒤이어 발표됐다.
재계에서는 일본 재계와 강한 네트워크를 자랑하는 전경련이 스스로 존재감을 뽐낼 호기를 잡았다는 평가다. 삼성그룹 창업주인 고(故) 이병철 회장이 게이단렌을 모델 삼아 만든 전경련은 출범 초기부터 일본 재계와 네트워크를 구축해왔다.
실제 지금까지도 한일재계회의를 매년 개최하는 등 국내 경제단체 중에서는 최고 수준의 일본 네트워크를 보유한 것으로 평가된다. 도쿠라 마사카즈 게이단렌 회장은 지난해 코로나19가 진정되자마자 직접 방한해 전경련을 방문하기도 했다.
아울러 두 사례 모두 정부의 한·일 경제협력 강화 정책을 전경련이 뒷받침해주고 있다는 점을 주목하는 시각도 적지 않다. 문재인 정부 당시 주요 행사에 초대받지도 못해 '패싱' 논란이 일어나는 등 정·재계에서 위상이 추락했을 때와는 큰 차이라는 것이다.
전경련은 지난 2016년 국정농단 사태에 연루돼 600여 개에 달했던 회원사가 400여 개로 줄었다. 특히 삼성과 SK, 현대차, LG 등 4대 그룹이 일제히 전경련을 탈퇴하면서 이전처럼 국내 경제단체의 수장이라고 나서기 어렵게 됐다.
이 같은 분위기에 변화가 발생한 것은 윤석열 정부 이후다. 특히 지난달 전경련 정기총회에서 김병준 미래발전위원장 겸 회장직무대행이 선출된 사례가 터닝포인트로 꼽히기도 한다. 김 위원장은 학자 출신의 정치인이다.
김 위원장은 지난 20대 대선에서는 윤석열 후보 캠프의 상임선대위원장을 맡았고, 선거 이후에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지역균형특별위원장을 지냈다. 윤 대통령의 '멘토' 중 하나로 평가를 받기도 한다.
윤 대통령과 가까운 인사가 지휘봉을 잡은 만큼 향후 전경련이 정부 정책에 대한 협력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라운드 테이블 등 행사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돼 윤 대통령이 직접 신경을 쓰고 있는 한·일 경제협력 강화에 공헌한다면 전경련의 옛 위상을 부활시키는 시발점이 될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다만 재계에서는 위상 회복을 논하기에는 아직 동력이 부족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4대 그룹이 국정농단 사태로 전경련 탈퇴를 선언한 만큼 정부 정책에 협력을 잘한다는 이유만으로 재가입하기는 어렵다는 지적이다. 4대 그룹 입장에서는 정부와 전경련이 가까운 사이가 된다면 오히려 전경련과 거리를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는 시각이다.
재계 관계자는 "대한상공회의소나 경영자총협회 등 다른 경제단체가 많은 상황에서 국정농단 사태 당시 탈퇴한 기업들이 재가입할 필요성을 느끼지는 못할 것"이라며 "정치권과 긴밀하다는 것 이외에 다른 측면에서 기업들에게 필요한 역할을 맡아줘야 다시 이전의 위상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14일 재계와 정치권에 따르면 전경련과 일본 게이단렌(일본경제단체연합회)은 오는 17일 일본에서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개최를 추진하고 있다.
이는 윤 대통령의 방일 일정에 맞춰 진행될 예정이다. 윤 대통령은 일본 정부 초청에 따라 오는 16~17일 일정으로 일본을 방문해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진행한다.
아울러 양 단체는 최근 양국 청년 세대를 위한 '미래청년기금'(가칭) 조성에 협력하기로 했다. 이 역시 정부가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들에게 국내 재단이 대신 판결금을 지급하겠다는 피해배상 해법을 발표한 직후 뒤이어 발표됐다.
재계에서는 일본 재계와 강한 네트워크를 자랑하는 전경련이 스스로 존재감을 뽐낼 호기를 잡았다는 평가다. 삼성그룹 창업주인 고(故) 이병철 회장이 게이단렌을 모델 삼아 만든 전경련은 출범 초기부터 일본 재계와 네트워크를 구축해왔다.
실제 지금까지도 한일재계회의를 매년 개최하는 등 국내 경제단체 중에서는 최고 수준의 일본 네트워크를 보유한 것으로 평가된다. 도쿠라 마사카즈 게이단렌 회장은 지난해 코로나19가 진정되자마자 직접 방한해 전경련을 방문하기도 했다.
아울러 두 사례 모두 정부의 한·일 경제협력 강화 정책을 전경련이 뒷받침해주고 있다는 점을 주목하는 시각도 적지 않다. 문재인 정부 당시 주요 행사에 초대받지도 못해 '패싱' 논란이 일어나는 등 정·재계에서 위상이 추락했을 때와는 큰 차이라는 것이다.
전경련은 지난 2016년 국정농단 사태에 연루돼 600여 개에 달했던 회원사가 400여 개로 줄었다. 특히 삼성과 SK, 현대차, LG 등 4대 그룹이 일제히 전경련을 탈퇴하면서 이전처럼 국내 경제단체의 수장이라고 나서기 어렵게 됐다.
이 같은 분위기에 변화가 발생한 것은 윤석열 정부 이후다. 특히 지난달 전경련 정기총회에서 김병준 미래발전위원장 겸 회장직무대행이 선출된 사례가 터닝포인트로 꼽히기도 한다. 김 위원장은 학자 출신의 정치인이다.
김 위원장은 지난 20대 대선에서는 윤석열 후보 캠프의 상임선대위원장을 맡았고, 선거 이후에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지역균형특별위원장을 지냈다. 윤 대통령의 '멘토' 중 하나로 평가를 받기도 한다.
윤 대통령과 가까운 인사가 지휘봉을 잡은 만큼 향후 전경련이 정부 정책에 대한 협력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라운드 테이블 등 행사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돼 윤 대통령이 직접 신경을 쓰고 있는 한·일 경제협력 강화에 공헌한다면 전경련의 옛 위상을 부활시키는 시발점이 될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다만 재계에서는 위상 회복을 논하기에는 아직 동력이 부족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4대 그룹이 국정농단 사태로 전경련 탈퇴를 선언한 만큼 정부 정책에 협력을 잘한다는 이유만으로 재가입하기는 어렵다는 지적이다. 4대 그룹 입장에서는 정부와 전경련이 가까운 사이가 된다면 오히려 전경련과 거리를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는 시각이다.
재계 관계자는 "대한상공회의소나 경영자총협회 등 다른 경제단체가 많은 상황에서 국정농단 사태 당시 탈퇴한 기업들이 재가입할 필요성을 느끼지는 못할 것"이라며 "정치권과 긴밀하다는 것 이외에 다른 측면에서 기업들에게 필요한 역할을 맡아줘야 다시 이전의 위상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