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 인터뷰] 양향자 "한국 전체를 K네옴시티로...이공계 육성 프로젝트 전개해야"

2023-02-24 04:44
"1000조 기업 2개, 500조 기업 3개 등 구체적인 계획 중요"
"과학기술 패권국가, 구체적 목표·그랜드 액션 플랜 정해야"
"반도체 인재공급 체계, 절체절명 과제...대기업 특혜론 없애야"

양향자 의원이 아주경제와의 인터뷰에서 K네옴시티에 대한 비전을 밝히고 있다.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양향자 의원은 아주경제와 가진 인터뷰에서 국회의원들에 대한 첨단산업 몰이해를 꼬집었다. 양 의원은 “의원들이 첨단산업 발전 운운하려면 진짜 공부 좀 많이 해야 한다”고 일갈했다. 자신이 여상을 졸업, 삼성전자의 높은 '유리 천장'을 깨고 상무가 되기까지 끊임없는 공부와 피땀 눈물이 수반됐기에 가능한 질타일 것이다. 이번에 책을 함께 집필한 임형규 전 삼성전자 사장도 “팀장님, 저는 왜 책상이 없어요?”라고 질문한 ‘연구보조원’인 그를 눈여겨보고 “이놈 물건이네”라고 기억할 정도다. 

그는 지난 7년간 자신이 목놓아 주장한 끝에 지난 22일 마침내 출범한 ‘국회 첨단전략산업특별위원회’에 여러 이유로 합류하지 못한 것이 제일 아쉽다고 했다. 특위에 함께하지 못하지만, 당적을 막론하고 특위 위원들에게 지속해서 조언할 생각이다. 

양 의원이 이렇게 몸을 낮추는 데는 반드시 이루고 싶은 원대한 비전이 있기 때문이다. 그의 머릿속에는 반도체를 기반으로 새롭게 도약할 ‘대한민국의 미래 산업지도’가 그려져 있다. 이른바 ‘K-네옴시티’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왕세자 무함마드 빈 살만이 2017년 석유 중심의 경제구조 탈피를 위해 발표한 초대형 신도시 사업이자, 국가 장기 프로젝트에서 이름을 따왔다. 

양 의원은 “빈 살만이 ‘네옴’ 프로젝트를 발표하며 새로운 아랍의 봄을 이끌어 가고 있듯이, 우리도 대한민국 전체를 최첨단산업 허브인 ‘K-네옴시티’로 탈바꿈시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를 위해서는 애플, 아마존 같은 기업가치 1000조 기업 2개, 500조 기업 3개 육성 등 과학기술 패권 국가로서 구체적인 목표를 정해야 한다는 생각이다. 또 “전국 단위로 10년, 20년 이상을 내다본 지역별 산업 육성을 계획해 △특화단지 지정 △인재육성 △전력·용수 인프라 지원까지 포함한 ‘그랜드 플랜’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앞서 한국 첨단산업에 대한 냉정한 진단도 필요하다고 봤다. 무엇보다 히든 히어로스 육성이 견고하지 못하다는 지적이다. 산업계에서 원하는 인재와 실제 대학에서 양성하는 인재의 간극이 크고, 무엇보다 40%의 벽을 못 넘는 이공계 경시 풍조, 우수 인재의 의약학계 선호현상 등이 난제다. 

첨단기술 산업의 만성적인 인재부족을 해결하려면 엔지니어들이 ‘대체 불가능한 인재’라는 인식을 심어주고, 응당한 보상을 해줘야 한다는 생각이다. 그 일환으로 아직 ‘반도체의 날’조차 없는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 관련 법(국가첨단전략산업법) 개정안을 준비하고 있다.

양 의원은 “메모리반도체의 경우 1000여 가지에 이르는 서로 다른 기술이 유기적으로 조합돼 D램과 낸드플래시 제품으로 완성된다. 한국의 기술이 쉽게 다른 걸로 대체되지 못하는 것은 1000여 가지 기술 줄기에서 독보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이 기술의 줄기를 책임지는 이들이 바로 히든 히어로스란 설명이다.

양 의원은 “메모리반도체를 포함해 한국 반도체 산업에 필요한 기술 줄기가 3000여 가지를 넘고, 하나의 기술 줄기마다 최소 10명 이상의 경쟁력 있는 엔지니어가 필요할 것”이라며 “이를 위한 반도체 인재공급 체계를 갖추는 문제를 우리 정부가 절체절명의 국가 과제로 인식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구체적인 해법으로 ‘제2의 전 국민 과학화 운동’을 제안했다. 양 의원은 “1970년대 정부는 ‘전 국민 과학화운동’으로 KAIST, 경북대 전자과, 부산대 물리, 전남대 화학 등 거점대학을 중심으로 이공계 인재 육성을 했다”면서 “‘제2차 전 국민 과학화 운동’을 진행, 지역별 산업 지형에 맞게 국가가 전폭적으로 이공계 인재육성 프로젝트를 전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양 의원은 현재 대만 TSMC가 세계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파운드리’ 분야의 기술 패권을 잡기 위해서도 파격적인 국가 전략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양 의원은 “비단 파운드리 기술뿐 아니라 패키징 기술, 설계 IP, 수율 및 품질관리, 제조 리드 타임, 고객 서비스 프로세스 등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안목으로 파운드리 분야 경쟁력을 강화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양 의원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에 대한 구분도 없애고 그에 따른 지원책 허들도 없애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한국은 반도체를 정쟁의 대상으로, 대기업 특혜론으로 갈라치며 미래 산업 경쟁력을 약화하고 있다”며 “반도체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생태계가 구축돼 있고, 국민 경제에 끼치는 영향이 중대한 만큼 초당적인 지원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양향자 의원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