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민간 주도 수소산업 육성' 공언한 수소경제委, 사업모델 다각화 힘써야

2022-11-13 10:30

지난 9일 열린 제5차 수소경제위원회를 통해 제2기 민간위원이 위촉됐다. 박지원 두산에너빌리티 회장을 비롯해 SK, 현대자동차 등에서 산업계 고위급 인사 5명이 이름을 올렸다. 2020년 위촉된 제1기 민간위원 중 산업계 인사가 3명이었던 것보다 2명 늘어났다.

수소경제위원회에 산업계 인사가 늘어난 것은 정부가 그만큼 기업의 목소리를 더 듣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민간위원으로 참여하는 기업들이 전체 공급망을 살필 수 있도록 구성된 것도 긍정적이다. 정부 측도 “산업계 민간위원 확대를 통해 민간 주도의 수소산업 육성에 대한 의지를 밝힌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박지원 회장은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의 동생으로 핵심 계열사인 두산에너빌리티의 최고경영책임자(CEO)를 맡고 있다. 박지원 회장의 수소경제위원회 합류는 두산그룹이 수소산업에 어떤 마음가짐으로 임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고 해석할 수 있다.

두산그룹은 수소를 미래 먹거리로 점찍고 주력 계열사를 통해 사업화에 힘쓰고 있다. 2020년 가스터빈 국산화에 성공한 두산에너빌리티는 추후 수소 혼소·전소가 가능한 수소터빈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두산퓨얼셀은 수소연료전지,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은 수소드론 관련 사업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SK와 현대차 역시 수소사업에서 각자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고 얼마큼의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을 거듭하고 있고 액화수소플랜트나 수소차 등 구체적인 사업도 진행되고 있다.
 

두산그룹이 실증을 진행하고 있는 ‘트라이젠’ 시스템을 시각화한 이미지. [사진=두산그룹]

지난달 수소경제위원회와 관련한 취재를 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수소경제를 바라보는 각기 다른 시각을 확인한 적이 있다. 수소경제를 실현하기 위한 기반이 아직 마련되지 않았다는 대전제에는 모두 공감을 표하면서도 서로 다른 해결책을 제시했다. 일각에서는 기업이 시장 규모와 수익성을 예측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하고 실제로 그렇게 될 수 있도록 주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다른 한편에서는 연구·개발(R&D)을 통해 기술력을 확보한 뒤 경제성이 확보되면 기업들이 앞다퉈 뛰어들 것이라는 의견을 냈다.

기업들은 이미 수년 전부터 수소사업을 추진할 조직을 만들어 운영하고 구체적인 사업 아이템도 제시하고 있다. 그런 만큼 수소경제는 역동성이 있는 민간이 선도하고 정부가 지원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한다. 다양한 목소리가 있는 상황에서 수소경제위원회 내 산업계 인사 비중이 늘어난 것은 기업들의 목소리가 더 많이 반영될 것이란 기대감을 준다.

정부는 제5차 수소경제위원회를 통해 2030년까지 수소상용차 3만대, 액화수소충전소 70개소를 보급하고 2036년까지 청정수소 발전 비중을 7.1%까지 늘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현재 선진국 대비 75% 수준인 7대 전략 분야의 기술 수준을 2030년까지 100%로 끌어올려 ‘세계 수소산업 선도국가’로 도약하겠다는 청사진도 밝혔다. 윤석열 정부가 2027년 5월까지 국정을 운영하는 것을 고려하면 이번 수소경제위원회를 통해 제시한 목표의 달성 여부가 2027년에는 어느 정도 윤곽을 드러낼 것으로 보인다.

중요한 것은 수소경제위원회를 통해 기업들이 사업을 다각화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는 것이다. 역동성이 있는 기업들이 뭐든 할 수 있도록 풀어줘야 그 과정에서 소위 ‘대박’이 터지기 때문이다. 우리 산업계가 도전과 좌절의 역사를 토대로 성장한 만큼 수소산업에서도 충분한 도전이 이뤄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 정부와 민간이 머리를 맞대 다양한 사업 모델을 창출하고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하는 데 힘쓴다면 수소산업을 선도하는 국가로 발돋움하겠다는 목표는 현실이 될 것이다.
 

[산업부 장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