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감원장 "부동산PF 지원받는 증권사, 책임지는 모습 보여야"

2022-11-07 16:44
외신기자 간담회 참석… "리스크 관리 소홀 책임 명확히 할 것"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0월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의 금융감독원 국정감사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7일 "채권시장 안정대책 조치로 유동성을 지원 받는 증권사가 스스로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 도덕적 해이가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이날 열린 외신기자 오찬간담회에서 "단기성과에만 집착해 선제적 리스크 관리를 소홀히 한 금융기관에 대해서는 책임을 명확히 하겠다"며 이같이 설명했다.

앞서 금융당국은 레고랜드 사태로 촉발된 자금시장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 50조원+α 규모의 시장 안정화 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이날 발언은 리스크 관리 소홀로 인해 유동성 위기에 처한 증권사들에게 향후 명확한 책임을 묻겠다는 발언으로 풀이된다.

이 원장은 "이번 조치는 부동산PF 과다보유 증권사의 리스크를 해소해 주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단기금융시장 악화 등 일시적 유동성 부족 가능성이 있는 증권사들에 시장 안정화 목적으로 유동성을 공급하는 것"이라며 "부동산 PF대출 부실화가 금융회사 등으로 전이되지 않도록 적극적인 리스크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부연했다.

금감원은 최근 부동산 투자 관련 시장이 부진함에 따라 금융업권별 부동산 익스포져를 점검했다. 특히 제2금융권을 중심으로 건전성·유동성 리스크 관리 강화를 지도하고 익스포져가 큰 증권사 및 사업장의 위험요인에 대해 면밀한 점검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금융회사에는 PF 사업장의 사업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해 대손충당금 적립 등으로 손실흡수능력을 제고할 것을 주문했다. 또 정상적인 PF사업장에 대해서는 금융회사의 자금공급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홍콩지수와 연계된 파생결합증권(ELS) 대규모 원금손실 우려에 대해서는 실제 손실발생 가능성은 낮다고 평가하면서도 지수하락에 따른 투자자 손실가능성에 대해서는 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최근 홍콩지수 연계 ELS 규모가 증가했으나 대부분 2024년부터 만기가 도래해 단기간 내 대규모 손실발생 가능성은 낮은 편"이라며 "증권사가 외화자금 확충 및 외화조달 비상계획 수립을 통해 발생가능 마진콜에 적정하게 대비 중이다. 증권사 외화유동성 보유 규모와 외화조달 비상계획 등을 지속적으로 점검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