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전쟁] 식물성 원료로 새 먹거리 찾는 페인트업계
2022-06-29 07:00
페인트기업들, ESG 경영 바람 타고 친환경 제품 출시 봇물
국제 유가 급등·물류 대란 등 악재…친환경으로 돌파 모색
국제 유가 급등·물류 대란 등 악재…친환경으로 돌파 모색
페인트업계가 ‘친환경’에 꽂혔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전 세계적인 화두로 부상하면서다. 국내 페인트업체들은 친환경 페인트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폐기물을 재활용한 원재료를 사용하거나 식물성 소재를 이용하는 등 환경 친화적 제품을 경쟁적으로 선보이고 있다.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 친환경 제품만한 것이 없다는 판단이 깔린 것으로 풀이된다.
나아가 국제 유가 급등 여파로 어려움이 가중된 상황에서 친환경 기술을 앞세워 위기를 극복하겠다는 시도로 분석된다.
폐기물을 재활용한 원재료를 사용하거나 식물성 소재를 이용하는 등 환경 친화적 제품을 경쟁적으로 선보이고 있다.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 친환경 제품만한 것이 없다는 판단이 깔린 것으로 풀이된다.
나아가 국제 유가 급등 여파로 어려움이 가중된 상황에서 친환경 기술을 앞세워 위기를 극복하겠다는 시도로 분석된다.
◆ 친환경 페인트 개발 집중하는 기업들
2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주요 페인트업체들은 친환경 제품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노루페인트는 최근 자회사 노루코일코팅과 공동으로 국내 최초 도막 내에 바이오 원료가 함유된 친환경 가전제품용 도료 ‘BIO-HQ’를 개발했다.
이는 사탕수수나 옥수수 등과 같은 자연 물질에서 추출한 성분을 화학적 반응을 통해 도료 필수 요소인 수지와 용제에 적용한 도료다.
기존 시장에 출시된 바이오 도료는 용제에만 적용됐으나 이번에 개발한 것은 수지 원료에도 바이오 원료를 사용했다. 물성 시험 결과에서 도막 내 바이오 함량이 20% 이상으로 나타났다.
앞서 노루페인트는 폐자동차 앞 유리를 재활용하는 친환경 건축용 수성 리사이클 도료 ‘순 앤(&) 수 에코 리스펙트’를 출시했다. 폐자동차의 앞 유리 라미네이팅 필름은 재사용이 어려워 대부분 폐기물로 분류됐었다.
이 페인트는 기존 도료 대비 1.5~1.7배의 탄소 저감 효과를 낸다. 도료 18ℓ 기준 폐자동차 1.27대의 필름을 재활용하며 내오염성과 항세균성, 항곰팡이성 등을 갖췄다.
노루페인트는 지난해 8월 국내 페인트 제품 중 최초로 건축용 바이오 도료 2종을 개발해 미국 농무부 바이오인증(USDA)도 받았다.
삼화페인트도 최근 친환경 인테리어 페인트 2종에 대해 USDA의 바이오인증을 획득했다. ‘자연가치 수성내부 에그쉘’과 ‘자연가치 수성내부 무광’은 USDA의 인테리어 수성 페인트 바이오 탄소 함량 기준치인 20% 이상을 충족했다.
이들 제품은 냄새가 없으면서도 물성이 우수하다. 아파트 신축 및 재도장 시 내벽이나 실내 인테리어, 어린이 이용시설 등 일반 생활 공간에 효과적이다.
삼화페인트는 지난달 건축물 내부 도장면의 균열을 방지하는 ‘아이생각 슈퍼케어 내부플러스’를 내놨다. 이 제품은 건물 내부 도장 표면의 미세 균열을 방지해 건물 수명을 연장하는 데 도움을 주는 고기능성 페인트다.
한국표준협회가 지정한 내부 수성도료 KS 규격(KS M 6010 2종 2급)을 충족했다. 환경부의 친환경 인증 및 실내마크도 획득했다.
KCC는 펄프·제지·신소재 종합기업 무림P&P와 업무협약을 맺고 친환경 페인트를 개발하기로 했다.
무림P&P는 천연 펄프에서 나노셀룰로스를 제조하는 원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나노셀룰로스는 나무를 목재칩으로 가공한 후 펄핑 과정을 거쳐 천연펄프에서 추출한 셀룰로스 섬유를 나노미터 크기로 쪼갠 물질이다.
무게는 철의 5분의1 수준이지만 강도는 5배 높아 주목받는 차세대 친환경 신소재다. 나노셀룰로스를 적용한 수성 페인트는 스프레이 분사를 통한 시공 시 점도가 낮아 균일한 작업을 용이하게 해준다.
조광페인트는 국내 업계 최초로 철도 차량용 수성 페인트에 대한 친환경 인증을 받았다.
친환경 수성 페인트 ‘에코필 2K 탑’은 기차·자동차·기계·가전제품 등을 만드는 산업 및 생산 시설에서 주로 사용된다. 중금속과 BTX(벤젠, 톨루엔, 자일렌)이 첨가되지 않아 인체에 유해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이 적다.
조광페인트는 최근 가전, 가구, 바닥재에 쓰이는 표면 마감용 자외선(UV) 필름에 바이오 원료를 적용했다.
이는 사탕수수나 옥수수 등과 같은 자연 물질에서 추출한 성분을 화학적 반응을 통해 도료 필수 요소인 수지와 용제에 적용한 도료다.
기존 시장에 출시된 바이오 도료는 용제에만 적용됐으나 이번에 개발한 것은 수지 원료에도 바이오 원료를 사용했다. 물성 시험 결과에서 도막 내 바이오 함량이 20%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 페인트는 기존 도료 대비 1.5~1.7배의 탄소 저감 효과를 낸다. 도료 18ℓ 기준 폐자동차 1.27대의 필름을 재활용하며 내오염성과 항세균성, 항곰팡이성 등을 갖췄다.
노루페인트는 지난해 8월 국내 페인트 제품 중 최초로 건축용 바이오 도료 2종을 개발해 미국 농무부 바이오인증(USDA)도 받았다.
삼화페인트도 최근 친환경 인테리어 페인트 2종에 대해 USDA의 바이오인증을 획득했다. ‘자연가치 수성내부 에그쉘’과 ‘자연가치 수성내부 무광’은 USDA의 인테리어 수성 페인트 바이오 탄소 함량 기준치인 20% 이상을 충족했다.
이들 제품은 냄새가 없으면서도 물성이 우수하다. 아파트 신축 및 재도장 시 내벽이나 실내 인테리어, 어린이 이용시설 등 일반 생활 공간에 효과적이다.
삼화페인트는 지난달 건축물 내부 도장면의 균열을 방지하는 ‘아이생각 슈퍼케어 내부플러스’를 내놨다. 이 제품은 건물 내부 도장 표면의 미세 균열을 방지해 건물 수명을 연장하는 데 도움을 주는 고기능성 페인트다.
한국표준협회가 지정한 내부 수성도료 KS 규격(KS M 6010 2종 2급)을 충족했다. 환경부의 친환경 인증 및 실내마크도 획득했다.
KCC는 펄프·제지·신소재 종합기업 무림P&P와 업무협약을 맺고 친환경 페인트를 개발하기로 했다.
무림P&P는 천연 펄프에서 나노셀룰로스를 제조하는 원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나노셀룰로스는 나무를 목재칩으로 가공한 후 펄핑 과정을 거쳐 천연펄프에서 추출한 셀룰로스 섬유를 나노미터 크기로 쪼갠 물질이다.
무게는 철의 5분의1 수준이지만 강도는 5배 높아 주목받는 차세대 친환경 신소재다. 나노셀룰로스를 적용한 수성 페인트는 스프레이 분사를 통한 시공 시 점도가 낮아 균일한 작업을 용이하게 해준다.
조광페인트는 국내 업계 최초로 철도 차량용 수성 페인트에 대한 친환경 인증을 받았다.
친환경 수성 페인트 ‘에코필 2K 탑’은 기차·자동차·기계·가전제품 등을 만드는 산업 및 생산 시설에서 주로 사용된다. 중금속과 BTX(벤젠, 톨루엔, 자일렌)이 첨가되지 않아 인체에 유해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이 적다.
조광페인트는 최근 가전, 가구, 바닥재에 쓰이는 표면 마감용 자외선(UV) 필름에 바이오 원료를 적용했다.
◆ 이미지 제고로 B2C 노린다
페인트업계는 원자재 가격 상승, 물류대란 등 대외 리스크로 실적 위협을 받고 있다.
주요 페인트 기업의 작년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모두 감소했다. 노루페인트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255억원으로 전년 대비 21.1% 줄었다. 삼화페인트 영업이익은 8억원으로 94.7% 급감했다. 조광페인트 영업손실은 88억원으로 적자 폭이 전년 48억원 대비 84% 커졌다.
올해 1분기는 일부 기업이 실적 개선을 이뤄냈지만 국제 유가 불안정으로 페인트업계 전망이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페인트 기업들의 친환경 사업은 하나의 생존 전략으로 분석된다. 페인트업체들은 친환경 소재 활용으로 불완전한 원자재 수급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 친환경 제품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다. 기업의 긍정적인 이미지는 소비자 구매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코로나19 이후 집 꾸미기에 관심을 갖는 이들이 늘어난 가운데 B2C(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 영역도 확장되고 있는 모양새다.
국내 페인트 시장의 전체 규모는 약 4조~4조5000억원, 이 중 B2C 시장은 500억~1000억원 규모로 추정된다. 코로나19 이후 B2C 부문 매출이 20% 이상 늘어난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탄소 중립과 ESG 경영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페인트업계의 트렌드가 친환경으로 바뀌고 있다”며 “연구개발 역시 친환경 부문 중심으로 변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페인트 기업의 작년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모두 감소했다. 노루페인트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255억원으로 전년 대비 21.1% 줄었다. 삼화페인트 영업이익은 8억원으로 94.7% 급감했다. 조광페인트 영업손실은 88억원으로 적자 폭이 전년 48억원 대비 84% 커졌다.
올해 1분기는 일부 기업이 실적 개선을 이뤄냈지만 국제 유가 불안정으로 페인트업계 전망이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페인트 기업들의 친환경 사업은 하나의 생존 전략으로 분석된다. 페인트업체들은 친환경 소재 활용으로 불완전한 원자재 수급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 친환경 제품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다. 기업의 긍정적인 이미지는 소비자 구매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코로나19 이후 집 꾸미기에 관심을 갖는 이들이 늘어난 가운데 B2C(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 영역도 확장되고 있는 모양새다.
국내 페인트 시장의 전체 규모는 약 4조~4조5000억원, 이 중 B2C 시장은 500억~1000억원 규모로 추정된다. 코로나19 이후 B2C 부문 매출이 20% 이상 늘어난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탄소 중립과 ESG 경영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페인트업계의 트렌드가 친환경으로 바뀌고 있다”며 “연구개발 역시 친환경 부문 중심으로 변화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