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최대 리스크는 '고물가'…통화정책 정상화 발걸음 '재촉'
2022-05-30 15:57
한국은행이 30일 발표한 '상반기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물가 상승 압력과 주요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 등이 금융시스템 주 리스크 요인으로 파악됐다. 이는 지난달 27일부터 지난 13일까지 국내외 금융기관 임직원, 금융권 협회 및 금융·경제 연구소 직원, 해외 금융기관 한국투자담당자 등 전문가 80명을 대상으로 의견을 조사한 결과다.
이번 조사에서 가장 많이 지목(단순응답 기준)된 리스크는 단연 물가 상승 압력(79.9%)이었다. 직전 조사 당시 가계부채와 비슷한 응답률(50%대)을 나타냈던 '물가 상승'은 상반기 기준 20% 이상 급등하며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와 심각성을 드러냈다. 가장 많은 전문가들이 1순위로 꼽은 리스크 요인에서도 물가 상승 압력(34.2%)은 여타 리스크 요인에 비해 두드러졌다. 뒤이어 주요국의 통화정책 정상화(15.2%),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11.4%), 시장금리 급등(10.1%) 순을 기록했다.
특히 금융시스템 리스크가 향후 1년 내에 현실화될 가능성에 대한 응답비율 역시 직전 조사보다 높아졌다. 단기 발생 가능성이 높다(매우높음, 높음)는 응답 비중은 26.9%로 이전 조사(12.5%)보다 2배 가까이 급증했다. 단기(1년 내) 발생 가능성이 높은 리스크로는 역시나 물가 상승 압력을 비롯해 주요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러-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지정학적 리스크, 시장금리 급등,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가 꼽혔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선 물가안정과 가계부채 및 부동산시장 안정과 금융기관의 자산건전성 관리 등이 긴요한 과제라고 보고 있다. 금통위는 이와 같은 맥락에서 지난주 열린 통화정책방향회의에서도 기준금리를 연 1.50%에서 1.75%로 0.25%포인트 인상한 바 있다. 이창용 한은 총재 역시 "물가 상승률을 고려한 실질 이자율을 보면 현 기준금리가 중립금리보다 낮은 수준인 것은 분명하다"고 언급했다.
이에 시장에서는 한은이 당분간 본격적인 통화정책 정상화에 힘을 실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김승혁 NH선물 연구원은 "한은이 성장보다 물가에 우선순위를 두겠다고 강조한 만큼 오는 7월에도 0.25%포인트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석길 JP모건 금융시장운용부 본부장도 "한은이 물가 상승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기준금리 정상화를 언급한 점 등을 감안하면 7월과 8월을 포함한 연내 최대 3차례 인상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전문가들은 "통화정책 완화수준 축소에 대해서는 시장에 분명하고 일관된 신호를 전달해 물가 상승세를 억제하고 기대인플레이션을 낮출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