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회생 중기부] "산업정책 아닌 기업정책 초점 맞춰 기능 강화해야"
2022-04-13 05:00
오동윤·주영섭 전문가 제언
산자부 등 다른부처와 적극 협력
尹당선인 공약 '성장사다리' 조성
산자부 등 다른부처와 적극 협력
尹당선인 공약 '성장사다리' 조성
윤석열 정부에서 중소벤처기업부는 존치를 넘어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대기업 중심의 산업 정책이 아닌 중소‧벤처기업 중심의 기업 정책을 중심으로 정책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목소리다.
13일 중기부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우리나라 총 사업체수 689만3706개 중 99.9%인 688만8435개 소상공인·중소기업을 중기부가 관장하고 있다. 맡고 있는 분야는 △전통시장 △소상공인 △중소기업 △스타트업 △벤처기업 등으로 중앙부처 중에서 정책 스펙트럼이 가장 넓다.
다만 중기부 정책은 산업통상자원부 등 타 부처와 겹친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중기부가 출범 초기 산업부로부터 산업인력 양성과 지역산업 육성, 기업협력 촉진 업무를 이관받는 등 태생적인 요인 때문이다. 또 빅3(시스템반도체·바이오헬스·미래차) 산업 지원, 스마트제조혁신 등 새롭게 추진하는 정책도 중복 논란을 빚어왔다.
이에 전문가들은 새 정부에서 산업부와 중기부 업무를 확실하게 분리하되 양 부처가 협력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한다. 현 정부 조직은 대부분 ‘기능’을 중심으로 조직돼 있기 때문에 ‘대상’ 중심 조직인 중기부는 독립 부처로 유지하는 한편 타 부처와 협력 관계를 만들어야 한다는 게 중론이다.
오동윤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원장은 “우리나라는 그동안 정부 주도의 산업 정책을 펴왔다. 정부에서 전자‧자동차‧조선‧반도체 등 사업 분야를 정하고 자본(기획재정부), 토지(산업통상자원부), 노동(고용노동부) 등 생산 요소를 투입하는 방식”이라며 “하지만 생산 요소가 대기업에 집중되다 보니 중소기업과 양극화 문제가 심각해졌다”고 진단했다.
오 원장은 “중소기업 중심의 경제 정책으로 정책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며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약속한 ‘성장 사다리’가 해답이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벤처‧스타트업에서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으로 이어지는 성장 사다리를 산업부와 중기부가 힘을 합쳐 매끄럽게 만들어줘야 한다”고 제안했다.
주영섭 서울대 공학전문대학원 특임교수(전 중소기업청장)도 “중소벤처기업 육성이라는 임무를 수행하는 중기부는 애초에 산업부 등 타 부처와 협업하는 ‘매트리스 조직’으로 태어났다”며 “기능 조직인 산업부와 대상 조직인 중기부의 역할을 분리한 뒤 양 부처가 서로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간 중기부는 타 부처와 협력하지 못하고 경쟁적으로 운영된 측면이 있다. 타 부처의 견제를 받으니 해체설까지 나온 것”이라며 “중소벤처기업, 지방경제, 탄소중립, 디지털 전환 등 시대적 과제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중기부가 기업의 창업, 성장, 혁신 중심의 기업정책을 맡고 산업부는 산업의 발전, 혁신 중심의 산업정책을 맡는 방향으로 시너지를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석열 정부 출범 후 중기부가 풀어야 할 과제로는 △대‧중소기업 간 양극화 해소 △소상공인 손실보상 △중소‧벤처기업 성장 생태계 육성 등을 꼽았다. 다만 정부 주도의 인위적인 벤처‧스타트업 육성은 지양해야 한다는 견해다.
주 교수는 “중소‧벤처기업 생태계를 활성화하는 게 최우선 과제”라면서도 “정부는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 기업을 지원하고 있지만 국내 유니콘 기업들은 내수 비중이 크다. 유니콘 기업 일자리가 늘어나면 중소기업 일자리는 줄어드는 제로섬 게임인 셈”이라고 지적했다.
오 원장은 “우리나라는 아직도 모태펀드 규모를 늘리는 방식의 정책적인 접근을 하고 있다”며 “직접적인 지원 대신 선진국처럼 규제를 푸는 방식을 통해 민간 주도 벤처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