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코로나 공포 확산...악몽 재현될까 '노심초사'
2022-02-20 06:00
홍콩 코로나 확진자 하루 7000명 넘어
시진핑 지시 하루 만에...방역대책 쏟아져
"올해 홍콩 경제성장률 3% 밑돌 것"
시진핑 지시 하루 만에...방역대책 쏟아져
"올해 홍콩 경제성장률 3% 밑돌 것"
홍콩의 한 패션업체에 다니는 주민 린(林)씨가 본지를 통해 전해온 말이다. 최근 홍콩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강력한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하고 있는 홍콩은 지난 2년간 하루 환자가 가장 많을 때도 100명을 좀 넘는 수준이었다. 하지만 지난 2월 9일 1000명을 돌파한 이후 확산세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지더니 18일 하루 신규 확진자 수가 7000명대로 치솟았다.
◆홍콩, 코로나로 패닉 상태...확진자 하루 7000명 추가
18일 홍콩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7000명을 돌파해, 사상 최다를 대폭 경신했다. 사망자도 255명에 달한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추세가 계속 이어진다면 3월 말까지 하루 신규 확진자 수가 2만8000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예상치 못한 확진자 급증으로 홍콩 내 의료 체계는 사실상 마비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캐리 람 장관과 행정부 내부에서는 750만명의 홍콩 시민 전원에 대한 코로나19 전수 조사를 강행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만약 홍콩 시민 전원에 대한 코로나19 검사를 하게 되면 이는 홍콩에서 처음으로 중국식으로 전 시민 대상 강제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다. 람 장관은 "홍콩은 중앙정부의 요청에 따라 감염병 통제를 제1의 업무로 간주하고 모든 인력과 자원을 동원해 시민의 안전과 건강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중국 기업들의 도움의 손길도 이어졌다. 알리바바는 알리바바 공익기금회를 통해 홍콩에 1000만 홍콩달러를 기부하기로 했으며, 텐센트도 자사의 기금회를 통해 총 1400만 홍콩달러의 후원금을 보냈다. 앞서 중국 최대 제약업체 중국생물제약도 코로나19 진단키트 7만 세트를 홍콩 정부에 전달하기도 했다.
이 모든 것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홍콩 친중 매체를 통해 방역이 '최우선 임무'란 불호령을 내린 지 하루 만에 나왔다.
앞서 지난 16일 친중 매체 홍콩 문회보와 대공보는 시 주석이 홍콩 정부에 직접 모든 수단을 총동원해 코로나19를 통제해야 한다고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시 주석의 발언은 친중 매체인 홍콩 문회보와 대공보를 통해서 소개될 뿐,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에서 소개되지 않았다.
이를 두고 홍콩 명보는 "보도된 시 주석의 지시는 내용부터 형식까지 이례적"이라며 "홍콩 친중 매체를 통해서만 소개된 것은 해당 발언의 청중이 중국 전 국민이 아닌 홍콩에만 국한됐음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비비안 잔 홍콩중문대 교수는 블룸버그에 "중국 정부가 홍콩 정부의 코로나19 통제와 관련해 인내심을 잃었다는 신호"라고 말했고, 마이클 데이비스 전 홍콩대 교수는 "아마도 시 주석은 중국의 다른 도시들에서 행해진 것처럼 홍콩에서도 봉쇄를 밀어붙일 것"이라고 관측했다.
◆2년간 악몽 꾼 홍콩...오미크론 쇼크에 '2019년 악몽' 재현되나
홍콩은 지난해 6.4%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했다. 2020년 코로나19 확산으로 위축됐던 소비 심리가 개선되면서 기저효과가 반영됐기 때문이다. 다만 홍콩도 중국과 마찬가지로 지난해 하반기부터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지난해 1분기 경제성장률이 7.8%로 1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2분기에는 7.6%, 3분기에는 5.5%, 4분기에는 4.8%까지 떨어졌다.
올해도 홍콩 경제 성장에 대한 전망은 부정적이다. 최근 이어진 오미크론 여파 탓이다. 반정부 시위와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됐을 때만큼 악화되진 않겠지만 최악의 성적표를 받을 것이라는 게 시장의 중론이다.
올해 홍콩 경제성장률은 3%도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홍콩 상공회의소는 지난해 홍콩 경제성장률을 3%로 예상했으나, 최근 1.2%로 하향 조정했다고 홍콩 명보가 전했다. 소매 판매도 지난해 12월에 5% 증가로 예상했으나 3%대로 낮췄다. 앞서 지난해 12월 소매 판매는 6.2%로, 시장 전망치인 12.5%보다 훨씬 밑돌았다.
뿐만 아니라 홍콩 경제 상황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인 실업률은 큰 폭으로 오를 것으로 보인다. 상공회의소는 올해 실업률을 4.8%로 제시했다. 이는 앞서 전망한 수치(3.7%)보다 1.1%포인트 오른 수치다.
글로벌 투자은행(IB)들도 최근 홍콩 상황을 고려해 경제성장률 목표치를 일제히 하향 조정했다. 골드만삭스는 기존 2.6%에서 2.4%로 하향 조정했다. 싱가포르 최대 은행인 DBS와 피치도 홍콩 오미크론 확산세에 따라 홍콩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각각 2.4%, 1.5%로 낮췄다.
홍콩 경제가 또다시 2019년 악몽을 꿀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앞서 지난 2019년 6월부터 시작된 반정부·민주화 시위로 인해 홍콩 경제성장률은 같은 해 3분기 약 10년 만에 처음으로 -2.8%를 기록한 후 4분기는 이보다 더 악화된 -3%를 기록해 2019년 한 해 마이너스 성장률(-1.2%)을 냈다.
이어 지난 2020년에도 홍콩 연간 경제성장률은 -6.1%로 곤두박질쳤다. 아시아 외환위기 당시였던 1998년(-5.9%) 이후 최악의 성적표였다. 홍콩 성장률이 사상 처음으로 2년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이었다.
당시 코로나19로 내수경제가 침체된 데다 주력 수출시장인 중국과의 교역량도 감소한 여파다. 여기에 지난 2020년 7월부터 시행한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도 홍콩 경제에 큰 타격을 미쳤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의 홍콩보안법 도입을 계기로 홍콩에 대한 특별지위를 박탈하는 행정명령을 지난해 7월 발동했는데, 이 때문에 홍콩을 거점으로 삼았던 서구 자본과 인력이 이탈하는 이른바 '헥시트(홍콩+엑시트) 현상'이 이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