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코로나 중국 기원설 재조사도 허탕 치나...'찻잔 속 태풍 그칠 수도'

2021-06-28 14:25

최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명령한 코로나19 중국 기원설 재조사가 또다시 별 소득 없이 끝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27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익명의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미국 정보 당국이 90일간의 재조사에도 코로나19 기원과 관련한 명확한 설명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앞서 지난달 23일 WSJ은 미국 정보기관의 미공개 보고서를 단독 입수해 2019년 11월 당시 중국과학원 산하 우한바이러스연구소(WIV)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유출했을 수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대한 진상조사 여론이 거세지자, 바이든 대통령은 같은 달 25일 정보 당국에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중국 허베이성 우한 기원설을 향후 90일 동안 재조사해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요청했다.

이후 미국 행정부는 국제보건기구(WHO)와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당시에도 국제 사회의 코로나19 기원 재조사 동참을 요구하며 군불을 지폈지만, 이번 조사 역시 별다른 성과 없이 끝날 수 있다는 우려한 것이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왼쪽)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오른쪽). 사진은 2015년 당시 모습.[사진=AFP·연합뉴스]


WSJ은 바이든 대통령이 재조사 요청 후 절반의 기간(45일)이 경과하는 시기인 다음 달 중순에 중간 보고서를 받을 예정이지만, 여전히 미국 정보기관은 코로나19가 동물과 인간과의 접촉으로 발생한 것인지, WIV에서 유출한 것인지에 대한 결정적인 증거를 확보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다만, 바이든 대통령 역시 90일간의 조사에도 확실한 결론이 나오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다.

다만, 행정부 관계자는 바이든 대통령이 시간에 얽매이지 않고 관련 조사를 이어가야 한다는 의지를 갖고 있을 뿐 아니라, 이번 재조사를 계기로 일부 진전된 증거를 확보하고 과학자, 정치인, 정보기관 사이의 견해차를 좁힐 경우 코로나19 기원에 대한 단서를 찾을 수도 있다는 입장이다.

실제 미국 내 18개 정보기관과 정치인, 과학자들은 지난해 미국 정부와 WHO의 관련 조사에도 코로나19 기원에 대한 의견이 제각각 다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미국 정보기관도 해당 조사와 관련해 난항을 겪고 있기 때문에 재조사가 장기화할 가능성도 있다.

미국 중앙정보국(CIA) 부국장을 역임했던 에이브릴 헤이즈 미국 국가정보부(DNI) 국장이 해당 조사를 총괄하는데, 이번 조사 대상은 일반적인 정보 당국의 영역인 군사·무기 등의 주제가 아니기 때문에 정보를 모으는 일도, 보고된 정보를 검토하는 일도 모두 낯선 업무라는 이유에서다.

이와 함께 중국 당국의 '무(無) 지원' 방침도 중대한 걸림돌이다. 중국 정부는 해당 의혹을 부정하면서 미국 정부가 자국에 대한 내정 간섭을 범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으며, 미국 측의 자료 공개 요청을 일절 거부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코로나19 중국 기원설의 진실 여부는 더욱더 미궁으로 빠지고 있다.

일각에서 코로나19 기원 의혹 정보의 출처로 지목됐던 중국 정보기관인 국가안전부(MSS) 2인자인 둥징웨이 중국 국가안전부 부부장의 미국 망명설과 관련해 미·중 양국 모두 이를 공식 부인하면서, 세간에는 뜬소문만 퍼지고 있기 때문이다.
 

에이브릴 헤인즈 미국 국가정보부(DNI) 국장.[사진=로이터·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