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열 열사 생애기록 38건 복원…부검보고서·어머니 글 포함

2021-06-08 14:00
국가기록원 3개월간 복원 작업…온라인 공개

우리는 떨리는 걸음으로 중환자실 문으로 들어갔다. 우리 한열이가 왜 그래요? 정말 눈으로 볼 수 없을 정도로 의식이 없고 코, 입, 산소 호흡기를 온몸에 착용해서 이름도 모르는 기계에 의해 호흡하고 있었으니... 27일 동안을 말 한마디 못해 보고... 한열이는 7월 5일 2시 5분에 우리 곁을 떠나고 말았다.
 

<이한열 열사 어머니의 글(1987)>

이한열 열사 어머니 배은심 여사가 1987년 7월에 쓴 글. [사진=국가기록원 제공]


1987년 6월 민주항쟁 도화선이 된 이한열 열사 관련 생애기록 38건이 복원 작업을 마치고 국민에게 공개된다.

행정안전부(장관 전해철) 국가기록원은 제34주년 6‧10 민주항쟁기념일을 맞아 이 열사 관련 자료 38건을 복원했다고 8일 밝혔다. 이한열기념사업회에서 소장하고 있는 이 열사 유품 가운데 고교 시절 일기와 기록, 압수·수색영장, 부검 결과 등이다. 

마이 라이프(My Life)는 이 열사가 고등학생이던 17살 때 겨울방학 기간에 50여일간 쓴 일기다. 평범하고 소소한 일상뿐 아니라 삶과 세상에 대한 진지함과 깊은 생각, 다짐, 어머니에 대한 애틋함 등을 볼 수 있다. 신문에 실린 새마을 수련회 참가기와 당시 부모님께 쓴 편지 등도 있다.

'1987년 6월 9일 5시 5분경'으로 시작하는 이 열사 어머니 배은심 여사 글에서는 연세대에서 위독한 상황을 전달받은 순간부터 중환자실에서 임종을 맞이하기까지 겪었던 사건과 애끓는 감정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6월 항쟁 관련 기록물도 있다. 이 열사 사망 이후 '압수·수색 검증영장'과 '이한열 군 부검결과 이물질 규명 중간보고'도 복원·공개한다. 이 중간보고는 당시 주치의가 부검 과정을 쓴 1쪽짜리 기록으로, 이 열사 머릿속에서 발견된 이물질 분석 내용과 직접적인 사인이 '최루탄 피격'임을 밝히고 있다.

항쟁 현장이 담겨있는 사진과 영상도 복원했다. 명동성당 시위 현장, 이한열 열사 영결식 때 고(故) 이애주 선생의 살풀이춤, 영결식에 참여한 서울 신촌 연세대 백양로 인파 등을 담은 사진을 볼 수 있다. '민주국민장 실황'이 녹음된 오디오 테이프(오디오 파일)에는 1987년 7월 9일 거행된 이 열사 영결식에서 고 문익환 목사가 한 추도사와 배 여사가 오열하는 음성 등이 담겨있다.

이번에 복원한 기록들은 지난해 5월 이한열기념사업회에서 국가기록원에 복원 지원을 요청했다. 기록원은 올해 2월 중순부터 약 3개월에 거쳐 복원 작업을 진행했다. 산성화와 물 얼룩에 의한 재질 변색, 오염·찢김 등 물리적 손상 등을 클리닝·오염 제거·중성화 처리를 거쳐 원형 그대로 복원했다. 사진은 이물질·얼룩·스크래치를 없애고 고해상도 디지털파일로 되살렸다. 아날로그 테이프는 전자문서화했다.
 

1987년 7월 '이한열 열사 관련 압수·수색 검증영장'(왼쪽)과 '이한열 군 부검 결과 이물질 규명 중간보고'. [사진=국가기록원 제공]


복원 기록물은 국가기록원 누리집에서 원문을 제공한다. 이한열기념사업회와 e-뮤지엄 사이트에서도 공개할 예정이다. 일기와 수련기, 배 여사 글 등을 온라인으로 공개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경란 이한열기념사업회 관장은 "이한열 기록은 1980년대 사회운동을 했던 학생들이 무엇을 고민하고 행동에 나서게 됐는지를 보여준다"며 "후대 사람들이 이 기록을 통해 그 시대와 생생하게 만나게 됐다"고 밝혔다.

곽정 국가기록원 복원관리과장은 "이한열 열사 생애 기록과 6월 항쟁 기록은 80년대 시대상·민주주의 역사를 대변하는 중요한 현대사 기록이며, 필사본이자 유일본으로 사료적 가치도 매우 높다"면서 "6월 9일 '기록의 날'에 맞춰 국민에게 제공할 수 있어서 기쁘다"고 말했다.

이 열사는 연세대 경영학과 2학년생이던 1987년 6월 9일 민주화 시위 과정에서 전경이 쏜 최루탄을 맞고 숨졌다. 이 사건을 계기로 6월 항쟁이 전국으로 확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