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줄고, 지원금 배제'...중산층, 코로나로 지갑 가장 많이 닫았다

2021-05-17 09:08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소비를 가장 크게 줄인 계층은 중산층으로 나타났다. 경기 침체와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으로 소득이 감소했지만 정부의 지원금 대상에서는 배제되면서 소비를 줄였다. 

17일 한국개발연구원(KDI) 남창우 연구위원과 조덕상 전망총괄의 '코로나19 경제위기와 가계소비'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소득 상위 40~60%에 해당하는 3분위 가구의 소비지출이 6.8% 감소했다. 이는 전체 가구의 지출 감소율인 2.8%의 배를 넘는 수준이다.

소득 상위 20~40%인 4분위 가구의 소비 지출은 4.2% 감소했으며, 소득하위 20~40%인 2분위 가구는 3.3% 줄었다. 소득 상위 20%까지인 부유층의 소비는 0.8% 줄어드는 데 그쳤다. 반면, 소득 하위 20%인 빈곤층의 소비는 2.8%로 유일하게 증가했다. 

가계의 지출 규모만 놓고 보면 부유층은 코로나 경기 악화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은 가운데 소득 중앙인 3분위와 중산층으로 분류할 수 있는 4분위가 지난해 소비 감소를 주도했다.

정부가 코로나 위기 극복을 위해 지급한 재난지원금이 저소득층의 소득 지표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경기 악화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았지만, 정부의 보편·선별 지원금을 받아 평균소득이 늘면서 지출을 확대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소득 하위 20%는 근로소득과 사업소득, 재산소득을 합산한 시장소득이 지난해 6.1% 줄었으나, 정부의 재난 지원금 등이 반영된 공적 이전과 세금 등 비소비지출까지 고려한 가처분 소득은 7.5% 증가했다. 2분위 역시 시장소득이 1.9% 줄었지만 가처분소득이 4.6% 늘었다.

이에 반해 3분위는 시장 소득이 2.7% 줄어든 가운데 가처분소득은 2.0% 늘어나는 데 그쳤다. 4분위 역시 시장소득이 1.2% 줄어든 상황에서 가처분 소득은 2.2% 느는 데 그쳤다.

3분위와 4분위 모두 전체 가구 평균 가처분소득 증가율인 3.3%에 미치지 못했다. 특히 3분위는 가처분 소득 증가율이 소득 5분위 중 가장 낮았다.

남창우 연구위원은 "중간소득 계층인 3분위와 4분위가 코로나19에 따른 실질적인 충격과 불확실성에 가장 크게 노출됐다"며 "중산층들은 이런 상황에서 소비지출을 큰 폭으로 줄이고 최악의 상황을 대비해 저축을 늘리는 방식으로 대응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