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첫 재난안전통신망, 경찰·소방·지자체 모은다"

2021-05-14 14:30
세월호참사 계기…LTE 기반 전국 단일
재난 상황에 기관간 소통창구 일원화

재난안전통신망 운영센터 구축 체계. [사진=행정안전부 제공]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추진됐던 재난안전통신망 구축 사업이 6년 10개월 대장정을 마무리했다.

14일 오후 대구 수성구에 있는 운영센터에서는 전국 단일 재난안전통신망 개통식이 열렸다. 4세대 무선통신기술(PS-LTE)을 기반으로 한 재난안전통신망은 기관별 통신망을 일원화한다.

재난안전통신망 구축 사업은 2018년 12월 본격화했다.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성공적인 운영 경험을 거친 이후다. 오는 2025년까지 구축·운영비 등 총예산 1조5000여억원이 투입된다. 지금까지 중부권(2019년 9월), 남부권(2020년 9월)에 이어 올해 3월 수도권 구축을 완료했다.

이에 따라 재난 상황에서 현장 대응력이 높아질 전망이다. 기존에는 재난 관련 기관별로 서로 다른 무선통신망(VHF·UHF·TRS)을 사용해 통신을 할 수 없는 지역이 많았다. 기관 간 상황 공유나 공동 대응이 어려웠던 문제가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으로 해결되는 셈이다.

재난안전통신망은 전국 1만7000여개 기지국을 상용망과 연동해 음영지역도 해소한다. 10년이 넘은 기존 고비용 재난 관련 통신망을 대체하고, 우수한 통화 품질로 경찰·소방 등 사용 기관 만족도를 높인다.

특히 최동단 독도에서부터 백령도, 마라도에 이르기까지 전국망 통신으로 광범위한 지역을 동시에 통합 지휘할 수 있다. 기관 간 공통통화그룹을 통해 끊김 없이 즉각적인 음성·영상통화도 가능하다.
 

전해철 행정안전부 장관. [사진=행정안전부]


이런 성능 발휘에는 SK텔레콤·KT 등 통신사와 장비 제조업체가 도입한 신기술이 한몫했다.

우선 통신망 안정성을 위해 운영센터를 서울·대구·제주 3곳으로 나눠 어느 한 곳에서 장애가 발생해도 차질 없이 운영할 수 있게 했다. 재난 현장용 음성·영상 그룹통신(MCPTT)과 통화 폭주를 해소할 국내 개발 동시 전송기술(eMBMS) 등 특화 서비스도 적용했다.

기지국 공유기술(RAN-Sharing)도 도입했다. 700㎒ 대역 공용주파수(전파)를 사용하는 해상망·철도망 등 통합공공망과 상호 운영성을 확보하고, 적용 대상을 확대했다. 상용망은 백업망으로 구성했다.

이 밖에 무선통신 국제표준화 기술협력 기구인 3GPP에서 제정한 재난안전통신규격(PS-LTE Standard Rel.13)을 준수하고, 차세대 주소체계(All-IPv6)를 세계 최초로 반영했다. 이로써 향후 사물인터넷(IoT) 등으로 규격을 상향(Rel.14~15)할 수 있다.

정부는 사물인터넷과 인공지능(AI)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탑재한 재난안전통신망이 디지털 뉴딜형 스마트 응용서비스 도입도 촉진할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 재난안전통신망 단말기는 9만여대가 사용 중이며, 올해 말까지 15만대 이상 보급할 예정이다. 이미 코로나19 백신 수송에도 재난안전통신망을 활용해 군부대와 연락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운영을 총괄한다. 기관별 중복투자를 방지하고, 경제적 유지보수로 인한 예산 절감 효과도 클 것으로 기대했다.

전해철 행안부 장관은 "지난 3월 수도권 지역 구축을 마무리하고 세계 최초 재난안전통신망 전국 운영을 본격 시작했다"며 “디지털 뉴딜 핵심 인프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통신뿐 아니라 다양한 재난안전 응용서비스를 제공해 사업 효과를 조기에 가시화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