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피크 완화 묘안…가스냉방 보급 필요성 대두

2021-05-13 10:47
가스냉방, 전력대체효과 탁월·여름철 전력수요 완화 기여

건물 옥상에 설치된 가스엔진히트펌프.[사진= 한국가스공사 제공]


매년 여름철 냉방 전력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전력 부하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냉방 에너지원의 다양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가스냉방 보급확대 사업도 그 일환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공공기관의 에너지이용합리화 추진에 관한 규정'을 변경해 공공기관 건물의 연면적이 1000㎡ 이상인 경우 가스냉방 등 비전기식 냉방설비 설치를 의무화했다.

가스냉방기는 전기 대신 가스를 열원으로 냉방한다. 하나의 기기로 냉방은 물론 난방도 가능해 기기의 효율적 이용이 가능한 것도 장점이다. 하절기엔 냉방 전력수요를, 동절기엔 난방 전력수요를 가스로 대체해 최대전력을 완화하는 게 특징이다.

또한, 친환경에너지인 천연가스를 사용함으로써 기존 냉방기보다 온실가스 저감 등 환경 기여 효과가 크다. 전국에 매설된 배관으로 공급되는 가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냉방수요에 따른 유연한 공급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가스냉방기는 가스흡수식과 엔진구동식(GHP, Gas Heat Pump)의 두 종류로 나뉜다. 가스흡수식은 가스를 열원으로 냉매(물)를 '증발→흡수→재생' 과정을 거쳐 구동된다. 이 방식은 대형건물의 중앙집중식 냉방시스템에 적합하다. 반면, 엔진구동식의 경우 냉방 압축기에 가스엔진을 사용해 구동한다. 이는 학교 등 중·소형 건물의 개별 냉방에 적합한 방식이다.

가스냉방은 전기냉방 대비 운영비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가스냉방기의 보급률은 높지 않은 편이다. 이는 가스냉방에 관한 국민적 인지도가 낮아서다. 현재 우리나라의 가스냉방 비중은 전체 냉방의 약 5~10%에 불과하다. 전문가들은 가스냉방 보급률을 20% 수준까지 높여야 불시의 전력수급 위기에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가스냉방 보급확대 내용은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에도 포함돼 꾸준히 가스냉방 확대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정부와 가스공사는 전력수급 안정을 위한 가스냉방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보조금 지급 △공공기관 가스냉방 설치 의무화 △기술 국산화 등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펼치고 있다.

산업부는 가스냉방 확대를 위해 2019년 6월, 지원제도를 개선해 경제성을 보완했다. 먼저 가스냉방 보급의 큰 장애요인으로 꼽힌 고가의 초기 투자비를 해결하기 위해 가스냉방 설치지원단가를 평균 20% 인상하고, 신청자당 지원한도를 1억원에서 3억원으로 상향조정했다..

가스공사는 가스냉방설비 설치장려금 지원, 중소기업 우대 지원 등 각종 지원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또한, 가스냉방에 대한 고객 이해도 향상을 위한 마케팅 활동의 일환으로 각 도시가스사와 협업해 수요처 대상으로 홍보를 지속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