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자의 투덜투덜] '정직하면 바보' 공정함에 목마른 사회

2021-03-29 16:31
정직한 사람이 조롱받지 않는 사회 만들어야

[사진=아주경제 DB]


"정직하지 않아도 돼, 기업은 편법을 써서라도 수익을 내는 게 목표야."

2018년 연말 여의도의 한 작은 자산운용사에서 면접을 보며 들은 이야기다. 당시 기자는 자기소개서에 '정직함'을 가장 큰 장점으로 적었었다.

사실 전략적으로 넣은 장점이었다. 2018년 4월 터진 '삼성증권 유령주식' 사건 이후 금융계에서는 정직함을 좀 더 요구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게 면접관의 심기를 건드린 듯했다. 마지막 면접자였던 기자에게 면접관은 잠시 남으라고 한 뒤 "기업은 '더러운 부분'도 있다"며 "이런 마인드면 기업들이 싫어할 거야"라는 조언을 했다.

합격 연락에도 입사할 용기는 나지 않았다. '사회는 원래 불공정 한 것인가'라는 의문은 머릿속을 맴돌았다. 이후 그 의문은 투자자들을 속이고 펀드를 팔아 1조가 넘는 피해액을 낸 '라임 사태'와 '옵티머스 사태'로 확신으로 바뀌었다.

이번 한국토지주택공사(LH) 불법 투기 논란도 마찬가지다. 부동산업 관계자들을 취재하다 보면 "다들 이럴 거라는 '의심'은 해왔잖아. 이제야 밝혀진 거지"라는 이야기를 자주 듣는다.

의심이 사실로 바뀌며 LH 사태는 우리사회 공정함의 결여를 증명하는 '실체적 증거'가 됐다. 게다가 '꼬우면 우리회사(LH)로 오라'거나 '돈 많이 벌었으니 잘려도 이득이다'는 등 정직하게 살아온 사람을 조롱하는 글은 국민의 분노도 일으켰다.

정부와 정치권은 모두 LH사태 해결을 위해 노력을 하고 있다고 말하지만 국민들 성에는 차지 않는다. 차명거래는 잡기 어렵다는 이야기에 국민들의 허탈감은 커졌고 지금까지 불법으로 취득한 이득을 소급해서 환수할 수도 없다는 소식도 들려온다. 공직자가 지위를 이용해 사익 추구하는 것을 막는 '공직자 이해충돌방지법'은 3월 국회 처리가 무산됐다.

사실에는 반박할 말이 없다. '정직하면 바보'라는 조롱을 그대로 들어야만하는 사회는 너무나 불합리하다. 국민들은 공정함에 목말라있고 사회는 이 갈증을 해결해줄 의무가 있다.  29일 정부는 부동산 투기근절·재발방지대책을 발표했다. 이 대책으로 정직한 사람이 바보가 아니라는 사실이 다시 자리잡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