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 작년 사이버 범죄 1조 달러 달해
2021-03-28 14:50
보험연구원 "사이버보험 통한 민·관 공조 체계 강화해야"
코로나19 지속으로 디지털 경제화가 가속화되면서 사이버보안 위험이 심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부와 대기업을 동시다발적으로 공격하는 시스템적 위험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민관의 공조로 위험 예방과 사이버 보험에 대한 역할 재정립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8일 보험연구원이 발간한 '바이든 정부의 사이버보안과 보험산업의 역할'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사이버 범죄에 따른 글로벌 경제적 비용은 약 1조 달러(한화 약 113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1% 규모다.
최근에는 코로나19로 재택근무가 확대되자 법률, 회계 등 전문서비스 업종의 사이버 피해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북미 지역의 전체 사이버 보험금 청구에서 전문서비스업이 건수 기준으로 32%를 차지했다. 2016~2018년 평균 22%에 그쳤던 것에 비해 크게 늘었다. 반면 보건·금융 산업의 피해는 10% 내외로 낮아졌다.
대표적 사이버 피해 사례는 '솔라윈즈(SolarWinds Hack)' 사건이다. 작년 12월 처음 확인된 이 해킹은 솔라윈즈의 네트워크 소프트웨어를 해킹해 몰래 드나들 수 있는 백도어를 만드는 방식으로 이 회사 서비스를 이용하는 미국 국토안보부·국무부·재무부, MS, 인텔 등 수많은 정부 부처와 기업 등을 공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미국의 조 바이든 정부는 사이버보안 강화를 국정 정책방향의 최우선 순위 중 하나로 표명했다. 약 90억 달러에 달하는 사이버보안 예산을 편성하고, 사이버보안 분야 최고 전문가들을 관련 정부기관 수장으로 대거 지명했다. 또 사이버통계국을 설립해 사이버보안 데이터를 공유하고, 보험업계 및 사이버보안 전문가로 구성된 작업반을 신설했다. 앞으로 보험료 산정 체계 표준화 등 사이버보험 시장 발전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홍보배 보험연구원 연구원은 "사이버 보안 피해가 커지는 동시에 시스템 또는 묵시적 위험 발생에 따른 보험사의 대규모 손실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며 "정부와 보험업계의 정책공조 강화가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보험업계는 사이버보안 시장에서 어떠한 핵심적인 기능을 할 것인지 역할 재정립의 과제가 남아있다"며 "우리나라도 글로벌 및 미국 사이버공격 동향을 예의주시하는 동시에 국내 위험 발생 가능성 점검과 보험시장을 통한 대비책 강화 등의 논의가 지속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28일 보험연구원이 발간한 '바이든 정부의 사이버보안과 보험산업의 역할'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사이버 범죄에 따른 글로벌 경제적 비용은 약 1조 달러(한화 약 113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1% 규모다.
최근에는 코로나19로 재택근무가 확대되자 법률, 회계 등 전문서비스 업종의 사이버 피해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북미 지역의 전체 사이버 보험금 청구에서 전문서비스업이 건수 기준으로 32%를 차지했다. 2016~2018년 평균 22%에 그쳤던 것에 비해 크게 늘었다. 반면 보건·금융 산업의 피해는 10% 내외로 낮아졌다.
대표적 사이버 피해 사례는 '솔라윈즈(SolarWinds Hack)' 사건이다. 작년 12월 처음 확인된 이 해킹은 솔라윈즈의 네트워크 소프트웨어를 해킹해 몰래 드나들 수 있는 백도어를 만드는 방식으로 이 회사 서비스를 이용하는 미국 국토안보부·국무부·재무부, MS, 인텔 등 수많은 정부 부처와 기업 등을 공격한 것으로 알려졌다.
홍보배 보험연구원 연구원은 "사이버 보안 피해가 커지는 동시에 시스템 또는 묵시적 위험 발생에 따른 보험사의 대규모 손실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며 "정부와 보험업계의 정책공조 강화가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보험업계는 사이버보안 시장에서 어떠한 핵심적인 기능을 할 것인지 역할 재정립의 과제가 남아있다"며 "우리나라도 글로벌 및 미국 사이버공격 동향을 예의주시하는 동시에 국내 위험 발생 가능성 점검과 보험시장을 통한 대비책 강화 등의 논의가 지속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