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범 "코로나19 바이오산업에 기회...국가 차원에서 연구 지원"

2020-07-02 10:38
제9차 경제 중앙대책본부(중대본) 회의 정례 브리핑
이달 셋째주까지 긴급고용안정지원금 집행 집중 기간으로 지정
소상공인 2차 지원 프로그램, 이번주부터 전국 지방은행에서 가능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2일 "바이오 연구에 필수인 연구·개발(R&D) 데이터와 바이오 소재를 통합 관리·제공하기 위한 국가체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차관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제9차 경제 중앙대책본부(중대본) 회의 정례 브리핑'을 열고 "전대미문의 글로벌 전염병 사태가 바이오산업 측면에서는 성장의 기회 요인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우리나라는 세계가 인정하는 코로나19 모범 대응 국가로서, 진단키트 등 K-방역을 포함한 K-바이오의 위상이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면서 "기회 요인도 더욱 크게 다가오고 있다"고 진단했다.

정부가 생명연구자원 빅데이터 구축 전략을 내놓은 배경이다. 내년까지 바이오 연구 데이터를 통합‧수집‧제공하는 플랫폼인 ‘국가 바이오 데이터 스테이션’을 조성할 계획이다.

최근 코로나19 상황에서 R&D 재료로만 인식되던 바이러스, 염기서열 데이터와 같은 생명연구자원이 R&D 경쟁력을 높이는 핵심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김 차관은 "이는 '바이오산업 혁신 태스크포스(TF)'에서 범부처 협업을 통해 만들어진 안건"이라며 "지난 1월 발표된 '바이오헬스 핵심규제 개선 방안'에 이은 바이오산업 혁신 대책의 두 번째 시리즈"라고 소개했다.

그는 이어 "생명연구자원 빅데이터 구축 전략은 바이오산업의 기회요인을 120% 활용할 수 있도록 바이오 연구에 필수적인 R&D 데이터와 바이오 소재를 통합 관리·제공하기 위한 국가 체계 마련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가 R&D에서 산출되는 모든 데이터를 플랫폼에 등록·활용하고, 이질적인 연구데이터를 통합해 신약 개발, 인공지능(AI) 등에 활용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각 부처에서 운영 중인 274개의 소재자원은행을 구조조정해 줄기세포‧뇌‧미생물 등 14개 분야별 소재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수요자가 원하는 소재와 서비스를 적시에 제공하고, 해외 의존도가 높은 연구 필수 자원을 자립화하는 것이 목표다.

이번 대책을 통해 정부는 백신·신약개발 등 바이오 연구에 필요한 필수 자원 자립 기반을 마련하고, 향후 코로나19 등 신·변종 감염병에 대한 발 빠른 대응, 바이오 연구·개발(R&D) 수준의 고도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감염병 대유행 등 바이오 재난 발생 시 검체·치료 후보물질 등 소재, 감염병 연구 데이터 등을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비상 운영 체계도 구축할 계획이다.

바이오산업 혁신 TF는 R&D혁신과 바이오산업 인재양성, 바이오 분야별 사업화 지원 등 남은 8개의 핵심 과제를 순차적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아울러 긴급고용안정지원금 집행에 더 속도를 낸다.

김 차관은 "긴급고용안정지원금은 지난달 30일까지 목표 대비 92.2% 수준인 약 105만1000명이 신청했다"면서 "증빙서류 보완 요청 등으로 지원금 지급이 다소 원활하지 못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이번 주부터 3주를 집중 처리기간으로 지정하고 지원금을 신속히 지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이번 주부터는 전국 지방은행에서도 소상공인 2차 지원 프로그램을 신청할 수 있다.

그는 "135조원+α 규모의 민생‧금융안정 패키지 프로그램은 지난달 26일까지 56조4000억원이 집행됐다"면서 "소상공인 2차 지원 프로그램은 이번 주부터 부산·광주·제주·전북·경남 등 전국 지방은행에서도 접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사진=기재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