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위기 현실화]①규제완화 논의 지연에 지역 저축은행들 발만 '동동'

2020-06-12 08:00
대구·경북, 호남, 충청 등 지역 저축은행들 고객 감소
TV광고 제한 완화 등 당국 규제완화 방안 실효성 떨어져

코로나19로 지역 경기가 악화되면서 중소 저축은행의 경영 환경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이에 금융당국이 수도권 대형 저축은행과 지방 중소저축은행의 규제를 차등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지만, 방안 마련이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업계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지역 경기 악화로 지방 저축은행들이 위기를 맞고 있다.[사진=연합뉴스]


11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지난 1분기 기준 지역 거점 저축은행의 거래자 수는 감소하고 있다.

이 기간 대구에서 자산 규모 1위인 참저축은행 거래자 수가 같은 기간 3286명 줄었다. 호남 지역 내 자산 1위 저축은행인 스마트저축은행 역시 같은 기간 2291명 감소했다. 충청지역에서 영업을 진행하는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 역시 거래자 수가 1231명 감소했다. 거래자란 은행의 예·적금 이용자 및 대출 이용자를 의미한다.

반면, 수도권 대형 저축은행의 거래자 수는 빠르게 늘고 있다.

업계 1위인 SBI저축은행의 거래자는 올해 1분기 107만4760명으로 1년 전보다 20만312명 급증했다. 같은 기간 OK저축은행(68만5293명)과 웰컴저축은행(57만4886명)도 거래자수가 각각 13만1925명, 10만9490명 증가했다. 3개 은행의 전년 같은 기간 대비 증가한 거래자 수만도 44만명으로, 전체 증가분(57만명)의 77%를 차지한다.

지방 저축은행 한 관계자는 "지방 경기가 안좋은데다, 코로나19까지 겹치면서 영업 상황이 더욱 어렵다"며 "대형사들의 경우 모바일앱을 활용해 고객층을 넓히고 있지만, 자금 상황이 어려운 지역 저축은행의 경우 이마저도 투자할 여력이 부족하다"고 토로했다.

반면, 금융당국은 지방 저축은행 규제완화 방안은 하반기로 미뤘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당초 상반기까지 지방 저축은행의 규제 완화 방안을 내놓기로 했다. 이는 지난 1월 은성수 금융위원장과 저축은행 CEO 간담회에 따른 후속조치다.

TV광고 규제와 예대율(예금대비 대출비율) 완화 등 최근 내놓은 규제완화 역시 지방 저축은행에게는 '그림의 떡'이다.

금융당국은 지난 4월 내부 자율 규제 '저축은행 광고심의규정'을 개정했다. 개정 내용은 상품이 아닌 이미지 광고에 한해 시간과 관계 없이 방송 광고를 할 수 있도록 한다는 내용이다.

하지만 TV광고를 진행하는 저축은행은 대부분 대형사인 만큼, 지방 저축은행들은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광고 트렌드도 온라인 위주로 변화해 규제완화가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특히 현재 대부분의 저축은행은 유튜브와 각종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등으로 효과적으로 광고를 진행하고 있다.

올해만 한시적으로 완화한 예대율 규제 완화도 실효성이 떨어진다고 주장하고 있다. 저축은행 다른 관계자는 "예대율 규제 상한을 잠시 110%로 올려도 내년에 규제 상한이 다시 100%로 되돌아오는 것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는 만큼, 이번 조치만으로 자금공급을 눈에 띄게 확대하는 것은 여의치 않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