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한국발 입국 빗장' 142개국…페루, 입·출국 모두 금지 '국경폐쇄'

2020-03-16 17:28
한국발 외국인 대상 명시적 입국금지 국가·지역 80개
격리 17곳·검역강화 45곳…中 지방정부 22개 격리조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유행) 공포에 한국발 입국자의 출입을 제한하는 국가·지역이 계속해서 늘고 있다.

16일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홈페이지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 기준 ‘코로나19 확산 관련 한국발 입국자에 대한 조치’를 내리고 한국에 빗장을 건 국가·지역은 총 142개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명시적 입국금지, 한국 출발 이후 일정 기간 이후 입국을 허용하는 ‘입국금지 조치’를 시행한 곳은 80개로 확인됐다. 특히 한국 전역에 대한 입국금지를 결정한 곳은 75개이고, 대구·경북 등 일부 지역에 대한 입국금지 조처를 내린 곳은 5개로 나타났다.

특히 페루는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국경을 폐쇄하면서 입국과 출국 모두를 금지했다. 이 때문에 현재 페루를 여행 중인 우리 국민도 고립될 위험에 처했다.

외교부는 “마르틴 비스카라 페루 대통령이 15일 오후 8시부로 국가비상사태와 관련한 긴급 명령을 발령했다”며 “페루 지방을 여행하시는 국민께서는 15일 격리 기간 이후 출국이 용이한 점, 쿠스코 지역이 고산인 점 등을 이유로 가능한 범위에서 리마로 이동하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어 “귀국을 계획하고 계시는 국민께서는 16일 오후 11시 59분 이전에 출국하시는 것을 권고한다”고 덧붙였다.
 

유럽을 다녀온 미국인들이 15일(현지시간) 시카고 오헤어 국제공항에 도착하고 있다.[사진=AFP·연합뉴스]


볼리비아는 한국, 중국, 이탈리아, 스페인을 방문한 외국인의 입국을 금지했다.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도 한국, 이탈리아, 스페인, 독일, 영국, 중국, 이란, 미국을 방문한 외국인의 입국을 막기로 했다.

남아공은 해당 국가를 방문한 외국인이 발급받은 비자의 효력도 중단하고, 입국 전 20일 내 이들 국가를 방문한 외국인의 비자발급도 중단하는 초강력 조치를 내놨다.

아르헨티나, 튀니지, 파나마 등은 자가격리에서 입국금지로 규제를 강화했다. 가나와 케냐 역시 신규 사증(비자) 발급 중단과 자가격리 권고에서 입국금지로 규제 수준을 높였다.

한국발 여행객을 격리 조치하는 곳은 중국을 포함한 17개이고, 검역강화 등을 취하는 곳은 45곳이다.
 

지난달 28일 중국 베이징(北京) 한인촌 왕징(望京)의 한 아파트에 한글로 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안내문이 붙어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편 중국은 베이징(北京)을 포함한 22개 지방정부에서 한국발 입국자의 격리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수도인 베이징 시 정부는 이날부터 무증상 입국자도 전원 집중 관찰 장소로 이송해 14일간 격리하기로 했다. 또 격리 기간 중 소요되는 비용을 격리 대상이 부담하도록 했다.

이와 관련해 외교부는 주중대사관을 통해 중국 정부에 문제를 제기했다. 외교부 고위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베이징시 정부의 조치에 대해 “국제적 룰에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 당국자는 “이달 4∼15일 발생한 중국 내 확진자가 574명이다. 이 중 외부로부터 입국한 사람이 국적 불문하고 105명이고, 대다수가 중국인”이라며 “그런 차원에서 격리조치를 자부담으로 한 것 같다”고 분석했다.

장하성 주중 한국대사는 이날 베이징 특파원단과 만난 자리에서 “베이징시가 입국자 전원을 지정 시설에 격리하는 조치를 갑자기 발표했다”며 “베이징에 거주하는 교민은 자가 격리로 전환해 달라고 요청했지만 아직 답이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인의 피해를 막고자 총력 대응하겠다고 했다. 다만 장 대사는 “한국인을 포함해 모든 외국인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만큼 쉽게 풀리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다른 나라 대사관과 상황을 공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