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10대그룹 총수 지분가치 14조5000억 이상 줄어

2020-03-02 07:53
이건희 주식재산 2조7000억 증발
신동빈·이명희는 '1조 클럽'서 빠져

코로나19의 타격으로 여행객 수가 줄은 지난 1일 인천국제공항 2터미널 미국행 전용 카운터가 한산하다. [사진=연합뉴스]

'코로나19' 확산으로 주가가 하락하면서 확진자가 발생한지 40여일 만에 10대 그룹 총수들의 지분 가치가 14조5000억원 이상 줄어들었다. 특히 국내 '주식 부호 1위'인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주식 재산이 코로나19 여파에 2조7000억원 날아간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분석 전문 한국CXO연구소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국내 10대 그룹 총수의 주식평가액 변동을 분석한 결과 이들 총수가 보유한 주식재산은 국내 첫 확진자가 발생한 1월20일 32조5650억원에서 40일 후인 지난달 28일 27조9727억원으로 14.1%(4조5922억원) 줄었다고 2일 밝혔다.

주식평가액은 총수가 보유한 주식 수에 해당일 종가를 곱해 산출했다. 10대 그룹 핵심 계열사 10곳(총수 미보유 주식 포함)의 주가 변동 현황도 함께 조사했다.

이 회장의 1월 20일 주식평가액은 19조2607억원으로 올해 처음으로 19조원을 넘으며 최고점을 달성했다. 그러나 코로나19가 발발하고 삼성전자와 삼성생명 주가가 폭락하면서 이 회장의 지난달 28일 주식평가액은 16조5417억원으로 주저앉았다. 40일 사이에 14.0%인 2조7190억원이 사라진 것이다.

주식재산 하락 폭이 가장 큰 10대 그룹 총수는 신동빈 롯데 회장이었다. 신 회장의 주식 평가액은 8736억원에서 6511억원으로 25.5%(2224억원) 줄었다.

이명희 신세계 회장은 주식재산 '1조 클럽'에서 빠져야 했다. 1조1665억원이었던 지분가치가 9568억원으로 18%(2097억원) 없어졌다. 최태원 SK 회장의 주식평가액은 3조1225억원에서 2조4929억원으로 20.2%, 현대차 정몽구 회장은 3조8544억원에서 3조4196억원으로 11.3% 쪼그라들었다.

조원태 한진 회장만 코로나19 사태 속에서도 주식 재산이 60% 이상 늘어나 눈길을 끈다. 조 회장의 주식 재산은 1167억원에서 2596억원으로 증가했다. 조 회장이 누나인 조현아 전 부사장과 경영권 분쟁을 벌이는 가운데, 조 회장이 보유한 한진칼 주가가 단기간에 폭등한 영향이다.

이같은 총수들의 주식평가액 폭락은 핵심 계열사들의 주가 하락 때문이다. 10대 그룹 핵심 계열사 10곳의 주가는 전 종목 하락했다. 하락율은 평균 16%였다.

롯데쇼핑과 신세계의 주가 하락율이 각각 29.2%, 23.6%로 가장 컸다. 유통업계가 코로나19로 가장 큰 타격을 본 것으로 풀이되는 대목이다. 이어 한국조선해양(-19.1%), 대한항공(-16.9%), 한화(-15%) 등도 주가가 15% 이상 주가가 폭락했다. 국내 전자산업을 이끄는 삼성전자(-13.1%), SK하이닉스(-12%), LG전자(-15.2%) 등도 주가가 10% 넘게 하락했다. 현대차의 주가 하락률은 2.5%로 소폭에 그쳤으나, 현대차 계열사인 기아차(-12.9%)와 현대모비스(-14.6%)는 10% 넘게 주가가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