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임 사태' 일파만파... 사모펀드 시장 '찬바람' 우려

2019-10-15 15:18

원종준 라임자산운용 대표이사가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제금융센터(IFC)에서 라임자산운용 펀드 환매 연기 관련 기자 간담회를 하기에 앞서 고개숙여 사과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라임자산운용의 펀드 환매 중단 사태가 확산 조짐을 보이자 '펀드런'(대규모 환매)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사모펀드 시장에 대한 규제가 강화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간담회서 또다시 '환매 연기' 발표

1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원종준 라임자산운용 대표이사는 전날 간담회에서 환매 연기 금액이 최대 1조3363억원까지 늘어날 수 있다고 발표했다. 이미 환매 연기가 확정된 펀드(8466억원)에 더해 향후 상환금 지급이 연기될 수도 있는 펀드 56개(4897억원)까지 합한 금액이다.

지금까지 라임운용이 환매 연기를 발표한 펀드는 사모채권·메자닌·무역금융 세 가지다. 이 중 사모채권과 메자닌에 투자한 펀드 55개(6030억원)에 대해 지난 10일 환매 연기가 확정됐다. 무역금융 펀드 38개(2436억원)의 경우 간담회에서 환매 연기 사실이 공개됐다.

지난 2일 라임자산운용은 만기가 도래한 'Top2 밸런스 6M 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 3개 펀드에 대해 상환금 지급을 연기했다. 그리고 8일 모펀드 ‘플루토 FI D-1호’와 ‘테티스 2호’에 재간접 투자된 펀드들의 환매 중단을 결정한 바 있다.

문제의 상품들은 모자(母子)펀드로 연결됐다. 사모채권을 편입한 플루토, 메자닌에 투자하는 테티스, 해외 대체투자 상품인 무역금융 등 세 개 모펀드에 여러 자펀드가 다시 투자하는 형태다. 모펀드 편입 비율에 따라 자펀드 수익이 확정된다.

이 중 ‘플루토 FI D-1호’이 투자하는 금융상품의 기초자산은 대부분 발행회사와 인수계약을 직접 체결해 편입한 사모 금융상품이다. 라임자산운용 측은 상대적으로 시장성이 낮아 장내 매각을 통한 자산 유동화가 용이하지 않고, 무리하게 자산을 매각하면 큰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해명했다.

‘테티스 2호’가 투자한 전환사채(CB)나 신주인수권부사채(BW)는 대부분 코스닥 기업이 발행한 것들로, 1년 또는 1년 6개월 뒤 전환가격 대비 주가가 상승하면 주식 전환 후 매도가 가능하다. 코스닥 시장의 약세로 주식전환을 통한 유동화가 어려워졌다는 게 라임자산운용의 설명이다.

◆펀드런 우려에 규제 강화도 불가피

예견됐던 사태란 의견도 있다. 애초에 유동화가 어려운 자산들로 중도 환매가 가능한 개방형 펀드를 구성한 것 자체가 잘못이란 얘기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CB나 BW는 만기도 길고 시장 규모도 작아 유동화가 어렵다"며 "코스닥 부진까지 겹치며 유동성 부족에 빠지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부실 기업으로 지목되는 회사가 발행한 자산에 투자한 것도 문제다. 라임운용이 투자했던 바이오빌의 경우 경영진의 횡령 혐의로 지난 1월 거래가 정지되기도 했다. 이종필 라임자산운용 부사장은 "2005년부터 현재까지 CB와 BW 발행 기업의 부도율은 약 7%"라며 "CB나 BW의 경우 우량 기업에만 투자할 순 없다”고 해명했다.

사모펀드 시장의 위축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쏟아진다. 운용사 측은 고객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지만, 신뢰를 회복하는 게 쉽지 않다. 이미 파생결합증권(DLS)·파생결합펀드(DLF) 사태 등으로 금투업계에 대한 불신이 커졌다. 

규제도 강화될 전망이다. 최근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금융위 밖에 있을 때에는 금융당국이 자산운용에 간섭해선 안 된다고 생각했다"며 "그러나 이젠 여러 문제가 나오다보니 투자자 보호 측면에서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금융감독원도 유사한 메자닌 펀드를 운용하는 자산운용사들에 대해 유동성 확보 방안을 점검 할 계획이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정부 규제 완화로 사모펀드 시장이 커졌지만 해외에 비해선 부족한 부분이 많다"며 "고객 보호에 보다 신경써야겠지만 섣불리 규제를 강화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