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보고서 "M&A, 재무적 부실 못 막아"
2019-07-01 09:08
인수합병 후 인수·피인수기업 양측 부실 더 커져
한국은행 경제연구원이 1일 발간한 BOK경제연구 '기업인수의 재무적 성과: 한국의 사례' 보고서는 "국내 기업 인수는 주로 재무적 부실과 관련해 발생하나 실제로는 부실을 해소하는 역할을 못 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2004~2017년 국내 상장기업 M&A 중 1379건을 분석한 결과 M&A 대상이 된 기업의 절반 이상이 재무적 부실 상태였으며, M&A 이후 피인수기업과 인수기업 모두 부실이 더 커졌다고 평가했다.
M&A는 통상 기업의 재무상황을 개선하려는 목적이 있지만 합병 후 피인수기업과 인수기업 모두 성과를 달성하지 못한 셈이다.
피인수기업은 M&A가 이뤄진 지 2년 후를 기준으로 총자산순이익률(ROA)이 4.9%, 인수기업은 4.8% 각각 하락했다. 총자산순이익률이란 당기순이익을 총자산으로 나눈 값이다.
또 피인수기업의 재무적 부실이 심각할수록 기존 대주주에게 불리한 방식으로 M&A가 이뤄질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무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주식을 대규모로 신규 발행해 새 대주주에 지급하는 방식으로 M&A가 이뤄졌다. 이럴 경우 기존 대주주는 대가를 즉시 지급받기 어려우며 지분율은 자연스레 낮아졌다.
보고서는 이같은 국내 M&A의 양상에 대해 미국 등 재무적으로 건전한 국가의 기업들이 M&A를 통해 시너지를 추구하거나 비효율적으로 운영되는 기업을 인수해 효율성을 높이는 것과 대조를 보인다고 평가했다.
한은 조은아 부연구위원은 "(국내 기업들은) 재무적 부실을 이유로 인수합병을 했으나 부실이 해소되지 않았다"며 "M&A 시장이 효율적으로 작동하지 않았다는 의미"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기업인수 시장이 효율적으로 작동해 기업의 재무성과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정책적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