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7명 "'통일'보다 '경제'가 더 중요"
2019-05-13 19:00
통일연구원 '통일의식조사 2019' 결과 발표…"통일 필요 없다"도 절반 육박
국민 대다수는 경제 제재를 아무리 강화해도 북한이 핵무기 개발을 포기하지 않을 것(72.4%)이며, '통일'과 '경제' 중 하나만 선택해야 한다면 '경제'를 선택해야 한다(70.5%)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무총리실 산하 통일연구원(KINU)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4월 5일부터 25일까지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1003명을 대면면접 방식으로 조사한 'KINU 통일의식조사 2019' 결과(표집오차 95% 신뢰수준에서 ±3.1% 포인트)를 13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북한을 대화와 타협의 상대로 보는 시각은 확산됐지만 통일 자체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이 많았다.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등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면, 남한이 손해를 보면서까지 북한을 도와줘야 한다는 시각에는 부정적이었다.
연구원은 "통일은 이제 대부분의 한국인에게 모든 것을 희생해서라도 성취해야 하는 절대적 목표가 아니다"며 "개개인에게 통일이 왜 중요한지를 설득할 수 있는 새로운 담론 개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정은 정권이 대화와 타협이 가능한 상대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긍정적'으로 답한 비율은 2017년 8.8%, 2018년 26.6%, 2019년 33.5%로 3년 연속 상승했다. 반면 '부정적'인 응답은 2017년 76.3%, 2018년 48.0%, 2019년 39.2%로 매년 감소했다.
현재 '김정은 정권과 대화와 타협을 추구해야 한다'는 의견은 51.4%로 2016년 이 문항을 조사에 포함시킨 이래 처음으로 50%를 넘었다. '북한은 적화 통일을 원하고 있다'는 의견에 동의하지 않는 비율도 37.6%로, 동의한다(28.7%)를 처음으로 추월했다.
특히 '통일문제'와 '경제문제' 중 하나를 선택해 해결해야 한다면 경제를 선택하겠다는 응답자( 70.5%)가 통일을 선택한다는 응답자(8.3%)보다 압도적으로 높았다.
'정치·군사적 대결상태에서도 북한과 경제 교류·협력을 지속해야 한다'는 질문에는 긍정적 대답이 64.3%로 전년 대비 2.4% 포인트 올랐다. 개성공단(60%)과 금강산 관광 재개(62.7%) 역시 긍정적 시각이 부정적 의견(각각 19.2%·16.8%)보다 많았다.
반면 '남한이 당장은 손해를 보더라도 북한이 현재의 경제적 난국을 극복할 수 있게 도와야 한다'는 의견에는 60%가 부정적으로 답했다. '국제공조를 통해 북한에 대한 제재를 확실히 이행해야 한다'는 데 찬성한다는 응답자도 65%에 달했다.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은 지속해야 한다'는 의견은 45.4%로 지난해 대비 4.6% 포인트 늘었다. 대북 인도적 지원에 대한 부정적 응답은 26.3%로 작년(26.7%)과 비슷했다.
'통일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2017년 57.8%, 2018년 70.7%, 2019년 65.6%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2018년 초에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본격적인 남북 대화 분위기가 무르익었던 것이 그해 통계에 반영된 것을 감안하면, 통일 필요성 인식이 저하된 것이 아니라 평년 수준으로 돌아간 것"이라고 설명했다.
'남북한이 전쟁 없이 평화적으로 공존할 수 있다면 통일은 필요없다'는 의견에 동의한 비율은 2017년 46.0%, 2018년 48.6%, 2019년 49.5%로 증가세다.
통일보다 평화공존을 선호한 비율은 2018년 16.2%에서 2019년 20.8%로 증가했다. 특히 20대는 2017년 이후 40% 안팎의 비율로 통일보다 평화공존을 선호했다.
정부의 통일 및 대북 정책에 대해 '잘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도 올해 42.3%로 지난해(69.5%)에 비해 대폭 줄었다.
국무총리실 산하 통일연구원(KINU)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4월 5일부터 25일까지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1003명을 대면면접 방식으로 조사한 'KINU 통일의식조사 2019' 결과(표집오차 95% 신뢰수준에서 ±3.1% 포인트)를 13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북한을 대화와 타협의 상대로 보는 시각은 확산됐지만 통일 자체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이 많았다.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등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면, 남한이 손해를 보면서까지 북한을 도와줘야 한다는 시각에는 부정적이었다.
연구원은 "통일은 이제 대부분의 한국인에게 모든 것을 희생해서라도 성취해야 하는 절대적 목표가 아니다"며 "개개인에게 통일이 왜 중요한지를 설득할 수 있는 새로운 담론 개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정은 정권이 대화와 타협이 가능한 상대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긍정적'으로 답한 비율은 2017년 8.8%, 2018년 26.6%, 2019년 33.5%로 3년 연속 상승했다. 반면 '부정적'인 응답은 2017년 76.3%, 2018년 48.0%, 2019년 39.2%로 매년 감소했다.
현재 '김정은 정권과 대화와 타협을 추구해야 한다'는 의견은 51.4%로 2016년 이 문항을 조사에 포함시킨 이래 처음으로 50%를 넘었다. '북한은 적화 통일을 원하고 있다'는 의견에 동의하지 않는 비율도 37.6%로, 동의한다(28.7%)를 처음으로 추월했다.
특히 '통일문제'와 '경제문제' 중 하나를 선택해 해결해야 한다면 경제를 선택하겠다는 응답자( 70.5%)가 통일을 선택한다는 응답자(8.3%)보다 압도적으로 높았다.
'정치·군사적 대결상태에서도 북한과 경제 교류·협력을 지속해야 한다'는 질문에는 긍정적 대답이 64.3%로 전년 대비 2.4% 포인트 올랐다. 개성공단(60%)과 금강산 관광 재개(62.7%) 역시 긍정적 시각이 부정적 의견(각각 19.2%·16.8%)보다 많았다.
반면 '남한이 당장은 손해를 보더라도 북한이 현재의 경제적 난국을 극복할 수 있게 도와야 한다'는 의견에는 60%가 부정적으로 답했다. '국제공조를 통해 북한에 대한 제재를 확실히 이행해야 한다'는 데 찬성한다는 응답자도 65%에 달했다.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은 지속해야 한다'는 의견은 45.4%로 지난해 대비 4.6% 포인트 늘었다. 대북 인도적 지원에 대한 부정적 응답은 26.3%로 작년(26.7%)과 비슷했다.
'통일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2017년 57.8%, 2018년 70.7%, 2019년 65.6%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2018년 초에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본격적인 남북 대화 분위기가 무르익었던 것이 그해 통계에 반영된 것을 감안하면, 통일 필요성 인식이 저하된 것이 아니라 평년 수준으로 돌아간 것"이라고 설명했다.
'남북한이 전쟁 없이 평화적으로 공존할 수 있다면 통일은 필요없다'는 의견에 동의한 비율은 2017년 46.0%, 2018년 48.6%, 2019년 49.5%로 증가세다.
통일보다 평화공존을 선호한 비율은 2018년 16.2%에서 2019년 20.8%로 증가했다. 특히 20대는 2017년 이후 40% 안팎의 비율로 통일보다 평화공존을 선호했다.
정부의 통일 및 대북 정책에 대해 '잘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도 올해 42.3%로 지난해(69.5%)에 비해 대폭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