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공사, 수소경제 활성화에 2030년까지 4조7000억원 투자…일자리 5만개 창출

2019-04-28 12:07
'2030 수소사업 로드맵' 발표…"수소 1kg당 가격 4500원까지 낮출 것"
수소 생산시설 25곳 조성…수소 운송 배관망 700㎞ 구축

한국가스공사가 오는 2030년까지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 4조7000억원을 투자한다. 이를 통해 수소를 연 173만t 공급하고 수소 1kg당 가격을 4500원까지 낮추는 것은 물론 일자리 5만개를 창출한다는 목표다.

가스공사는 28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수소사업 추진 로드맵'을 발표했다.

가스공사는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정책에 발맞춰 공개한 이번 로드맵에서 수소 생산·유통망을 구축해 수소경제의 마중물 역할을 한다는 비전을 밝혔다.

앞서 1월 정부는 오는 2040년까지 수소차 620만대 생산, 발전용 연료전지 15GW 보급 등 세계 1위 수소경제 국가로 도약하겠다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내놓은 바 있다.

가스공사는 △수소 운송·유통 부문 인프라 선제 구축 △수소산업의 상업적 기반 조성 △수소산업 전 밸류체인의 기술 자립 실현 △선진국 수준의 안전관리 체계 조기 확립을 '4대 추진방향'으로 설정하고 정부와 함께 세부 추진계획을 구체화할 방침이다.

우선 가스공사는 수소시장의 자생적인 성장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수소 제조·유통 부문 인프라를 선제 구축한다.

공사는 전국 4854km에 이르는 천연가스 배관망과 공급관리소 403개소를 활용해 2030년까지 수소 생산시설 25개를 마련하기로 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거점도시를 시작으로 2022년까지 9개소, 2025년까지 6개소, 2030년까지 10개소를 각각 설립한다.

생산시설에서 만든 수소를 국내 각지에 운송하기 위한 수소 전용 배관망은 2030년까지 총 700km를 구축한다.

2022년까지 거점도시 내 100km, 2025년까지 광역권 배관망 500km, 2030년까지 수요 증가와 해외 수입에 대비한 배관망 100km 이상을 건설하기로 했다.

압축 수소를 한 번에 운송할 수 있는 대용량 수소 운반용기인 튜브 트레일러는 2030년까지 500대를 만든다.

이에 따라 공사는 준비기인 2022년까지 연 47만t, 확산기인 2030년까지 연 173만t, 선도기인 2040년까지 연 345만t의 수소를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공사가 예측한 수소 수요는 연간 기준 2022년까지 47만t, 2030년까지 194만t, 2040년까지 526만t이다.

수소산업의 상업적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유통구조 효율화로 수소가격 경쟁력을 높이고 운송방법·거리 등에 따른 가격 편차 해소에도 나선다.

현재 국내 수소 1kg당 가격은 6500∼7500원 수준이다.

수소 1kg 가지고 차를 운행할 경우 96.2km를 갈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경유를 수소로 환산하면 ℓ당 대략 9000원 수준으로 비싼 편이다.

수소를 상업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수소 가격을 낮춰 다른 연료와 비교해 뒤지지 않는 경제성을 확보하는 것이 시급하다.

공사는 저렴한 부생수소(석유화학 공정에서 부산물로 생기는 수소) 활용을 확대하고 고기술·대량 공급 체계로 전환해 2030년까지 충전소에 공급하는 수소 가격을 1kg당 4500원으로 낮춘다는 목표를 세웠다. 소매가격을 기준으로 하면 약 6000원 정도로 낮아진다.

이 경우 2030년에는 6천200원으로 약 100km를 갈 수 있다. 같은 거리를 경유로 가려면 9900원이 든다.

아울러 기술 향상과 해외 수입이 이뤄지는 2040년에는 3천원까지 인하할 수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해외 수소 가격은 1kg당 1000원 수준으로 저렴하지만, 문제는 운송비"라며 "수입량이 30만t 이상은 돼야 규모의 경제를 확보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해외 수입 목표치는 2030년까지 연 30만t, 2040년까지 연 120만t이다.

공사는 수소를 수입할 때 북방자원을 우선 활용하되 호주 등 해상 운송도 검토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수소를 액화해 액화천연가스(LNG)처럼 선박으로 들여올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함께 이뤄진다.

또 안정적인 수급관리와 효율적 유통으로 지역별 가격 편차가 큰 수소를 운송 거리와 관계없이 단일가격으로 공급할 방침이다.

현재 한국의 수소산업 기술 수준은 초기 단계에 불과하다.

공사는 2030년까지 약 3000억원을 투자해 주요 기자재 국산화를 완료하고 전 밸류체인에서 기술 자립을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수소 생산과 충전 인프라 관련 기술개발에 주력하면서 중장기적으로는 액화, 전기분해를 통해 수소를 얻는 수전해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모든 국민이 어디서나 수소에너지를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수소 안전관리체계도 확립한다.

2020년까지 수소 시설 안전기준을 정립하고 2022년까지 안전관리체계를 구축·운영한다.

다만 규제를 풀어 수소에너지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는 방안도 함께 고려 중이다.

김영두 가스공사 사장 직무대리는 "수소는 고압가스로 분류돼 고압가스관리법의 규제를 받는데 이를 적용하면 안전관리 측면에서 상당한 안전거리 확보 등이 필요하다"며 "정부가 수소 배관이나 수소충전소 설치와 관련해 수소안전관리법을 별도로 만드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수소사업을 위한 재원은 가스공사에서 1조원을 조달하고 나머지는 정부 보조금이나 민간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을 통해 충당한다.

공사는 로드맵 추진 과정에서 수소 생산시설 및 배관 건설, 충전소 운영 등 약 5만개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김 사장 직무대리는 "수소산업이 차세대 국가 핵심산업으로 성장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더불어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미래 저탄소·친환경 에너지 시대를 이끌어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영두 한국가스공사 사장직무대리가 지난 25일 세종정부청사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수소사업 추진 로드맵'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 = 한국가스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