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4월 3일은 '제주 4·3사건' 71주년…'제주 4·3사건'이란?
2019-04-03 05:00
군경이 무장대 진입 명목으로 무고한 제주도민 3만명이 희생 당한 사건
4월 3일을 맞이해 ‘제주 4·3사건’이 주목을 받고 있다.
‘제주 4·3사건’은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해 1948년 4월 3일에 발생한 소요사태이다. 또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 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을 말한다.
당시 군정 경찰은 무장대를 진압한다는 명목으로 무고한 제주도민을 무분별하게 학살하거나 마을 수십 곳을 불태운 것으로 진상조사를 통해 확인됐다.
제주도는 지리적으로 동북아시아의 요충지라는 특성이 있다. 이로 인해 태평양전쟁 말기에는 미국의 상륙을 저지하려는 일본군이 주둔한 전략적 기지였다.
8·15 광복 직후에는 일본군이 철수하고, 외지에 있던 제주 주민 6만여 명이 한꺼번에 귀환해 급격한 인구 변동을 겪었다. 제주도로 돌아온 사람들은 구직난, 생필품 부족 등으로 생계를 꾸리기 어려웠다. 게다가 콜레라 발병으로 수백명이 죽고, 극심한 흉년과 미곡정책 실패로 인한 식량난 등으로 민심이 악화됐다. 또 일제에 부역한 경찰이 미국정하에서 치안을 책임지는 군정 경찰로 변신해 부정행위를 일삼는 등 여러 가지 사회문제가 두드러졌다.
이런 상황에서 1947년 발생한 ‘3·1절 발포사건’은 제주 4·3사건의 도화선이 됐다. 경찰의 발포사건을 시작으로 1948년 4월 3일부터 7년간 제주도에서 무고한 시민들이 희생을 당했다. 정치적 이념과 상관없는 시민들이 무려 3만명이 숨졌고, 이는 당시 제주도 인구의 10%에 달하는 규모였다.
설민석 역사 강사에 따르면 1948년 4월 3일 남한만의 단독 정부 수립을 막기 위해 남로당 제주도당이 무장 봉기했다. 경찰이 이를 제지하는 과정에 무고한 제주도민들이 희생됐다. 결국 이 봉기는 실패했고 제주도는 대한민국의 탄생을 방해한 곳으로 낙인찍혔다. 이후 해안선 5㎞ 이상 지역에 있는 사람들을 폭도로 간주해 사살하는 등의 일이 벌어졌다.
한편 국방부는 이날 열리는 ‘제71주년 4·3 추념식에서’ 사과 입장을 표명할 전망이다. 전날 노재천 국방부 부대변인은 “정경두 국방부 장관이나 서주석 차관 중에서 검토 중이지만, 어떤 형식으로든 입장표명이 있을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제주 4·3사건’과 관련해 지금까지 대통령의 사과는 있었지만, 국방부 장관이 희생자와 유가족에게 공식적으로 입장을 표명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제주 4·3사건’은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해 1948년 4월 3일에 발생한 소요사태이다. 또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 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을 말한다.
당시 군정 경찰은 무장대를 진압한다는 명목으로 무고한 제주도민을 무분별하게 학살하거나 마을 수십 곳을 불태운 것으로 진상조사를 통해 확인됐다.
제주도는 지리적으로 동북아시아의 요충지라는 특성이 있다. 이로 인해 태평양전쟁 말기에는 미국의 상륙을 저지하려는 일본군이 주둔한 전략적 기지였다.
8·15 광복 직후에는 일본군이 철수하고, 외지에 있던 제주 주민 6만여 명이 한꺼번에 귀환해 급격한 인구 변동을 겪었다. 제주도로 돌아온 사람들은 구직난, 생필품 부족 등으로 생계를 꾸리기 어려웠다. 게다가 콜레라 발병으로 수백명이 죽고, 극심한 흉년과 미곡정책 실패로 인한 식량난 등으로 민심이 악화됐다. 또 일제에 부역한 경찰이 미국정하에서 치안을 책임지는 군정 경찰로 변신해 부정행위를 일삼는 등 여러 가지 사회문제가 두드러졌다.
이런 상황에서 1947년 발생한 ‘3·1절 발포사건’은 제주 4·3사건의 도화선이 됐다. 경찰의 발포사건을 시작으로 1948년 4월 3일부터 7년간 제주도에서 무고한 시민들이 희생을 당했다. 정치적 이념과 상관없는 시민들이 무려 3만명이 숨졌고, 이는 당시 제주도 인구의 10%에 달하는 규모였다.
설민석 역사 강사에 따르면 1948년 4월 3일 남한만의 단독 정부 수립을 막기 위해 남로당 제주도당이 무장 봉기했다. 경찰이 이를 제지하는 과정에 무고한 제주도민들이 희생됐다. 결국 이 봉기는 실패했고 제주도는 대한민국의 탄생을 방해한 곳으로 낙인찍혔다. 이후 해안선 5㎞ 이상 지역에 있는 사람들을 폭도로 간주해 사살하는 등의 일이 벌어졌다.
한편 국방부는 이날 열리는 ‘제71주년 4·3 추념식에서’ 사과 입장을 표명할 전망이다. 전날 노재천 국방부 부대변인은 “정경두 국방부 장관이나 서주석 차관 중에서 검토 중이지만, 어떤 형식으로든 입장표명이 있을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제주 4·3사건’과 관련해 지금까지 대통령의 사과는 있었지만, 국방부 장관이 희생자와 유가족에게 공식적으로 입장을 표명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