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中銀 통화정책 유턴..경기둔화 어떻길래
2019-03-21 16:20
선진국 신흥국 줄줄이 긴축 정책에 급제동
무역전쟁ㆍ中경기둔화ㆍ브렉시트 등 악재
무역전쟁ㆍ中경기둔화ㆍ브렉시트 등 악재
글로벌 경제 둔화에 대한 우려가 짙어지면서 세계 중앙은행들의 통화정책이 ‘긴축’에서 ‘완화’로 유턴하고 있다.
전 세계 긴축 흐름을 주도하던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도 경기 둔화 우려 앞에 무릎을 꿇었다. 연준은 20일 기준금리를 동결하는 한편, 올해 금리인상을 중단하고 9월에는 보유자산 축소도 중단하기로 했다. 사실상 2015년부터 시작한 통화정책 정상화 종료를 선언한 것이다.
긴축 계획에 급브레이크를 밟은 것은 연준만이 아니다. 유럽중앙은행(ECB)은 이미 이달 통화정책회의에서 연내 금리인상 계획을 철회했고, 9월부터는 부양책의 일종인 장기대출프로그램(TLTRO-Ⅲ)을 도입하기로 했다. 일본은행도 지난주 통화정책회의에서 현행 부양책을 유지한다는 방침을 재확인하고 필요시 주저없이 추가 부양책을 펼치겠다고 강조했다. 호주·터키·캐나다 역시 줄줄이 금리동결 모드에 돌입했고, 인도·브라질은 금리인하에 나서기도 했다.
불과 1년 전만 해도 중앙은행들이 글로벌 금융위기 대응을 위해 풀었던 유동성을 거둬들이는 데 집중했다면, 이제는 상황이 완전히 반전됐다.
이런 배경에는 세계 경제의 뚜렷한 둔화 추세가 있다. 세계 경제는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동시다발적인 성장세를 띠기 시작한 지 불과 2년도 안 돼 다시 침체 위기에 직면했다. 미·중 무역전쟁과 중국의 경기 둔화,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불확실성 등이 모두 악재다.
경기 평가 및 성장률 전망치 하향 조정도 잇따르고 있다. 중국 성장률은 지난해 6.6%로 28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는데, 올해 목표는 그보다 낮은 6.0~6.5%다. 산업생산부터 실업률까지 경제 전반에서 빨간불이 켜졌다. 중국의 경기 둔화는 무역 상대국 경제에 직격탄이 된다.
유럽연합은 올해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 성장률 전망치를 1.1%로 종전보다 0.6% 포인트나 내려잡았다. 일본정부는 3월 경제보고서에서 일본 경제에 대한 평가를 2년 만에 처음으로 하향 조정했다. 오는 10월에는 소비세가 인상될 예정이라 소비 침체로 인한 급격한 경기 위축 우려도 크다.
비교적 선방하던 미국 경제도 최근 소매판매와 산업생산 지표가 부진하면서 둔화 조짐이 선명하다. 연준은 올해 미국 성장률 전망을 종전보다 0.2% 포인트 낮춘 2.1%로 제시했다.
완화적 통화정책이 ‘뉴노멀(새로운 일상)’ 시대에 접어들었다는 관측도 나온다. 글로벌 금융위기 후 저성장과 저인플레이션이 일상화되면서 중앙은행들이 부풀어오른 대차대조표를 안은 채 저금리를 유지하는 것도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달 초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은행 총재도 성장률이 둔화하고 그에 맞춰 낮은 금리가 계속되는 상태가 '뉴노멀'이 됐다고 지적한 바 있다.
그러나 문제는 다음이다. 경제 사정이 더 나빠졌을 때 중앙은행들이 대응할 여지가 좁아진다는 점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 경제가 위기에 빠질 경우 연준이 쓸 카드가 많지 않아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경제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보통 4% 포인트 이상 금리인하가 필요한데 현재 기준금리가 2.25~2.5%인 만큼 더 이상 내려갈 곳이 없다는 것이다. 일본과 유로존의 기준금리는 각각 -0.1%, 0%에 불과하다.
로런스 서머스 전 미국 재무장관은 이달 초 보고서에서 "선진국들이 일본식 완화정책의 덫에 빠질 위기에 처했다"고 지적했다. 일본은 마이너스 금리와 자산매입을 포함해 대규모 통화부양책을 이어가고 있으나 일본은행 내에서는 2021년까지도 2% 물가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것이라는 회의론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