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소비시장 확대 정책 펼칠 것....국내 기업 선제적 대응 필요"
2019-03-10 13:42
우리 기업들은 중국의 이러한 변화에 맞춰 대응할 필요가 있다는 조언이다.
10일 한국은행 해외경제포커스에 게재된 '미·중 무역갈등 이후 중국의 경제상황 및 리스크 요인 평가' 보고서에서 "미·중 무역갈등이 중국 실물경제에 일부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아직 심각한 정도는 아니다"라고 밝혔다.
미·중 무역갈등은 일부 상업용 부동산에만 제한적으로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미·중간 무역갈등이 지식재산권 보호, 강제 기술이전 등 구조적 이슈에 대해 타협점에 이르지 못한채 장기화되더라도 극단적인 경우가 아니라면 중국 정부의 디레버리징 기조는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여기에는 디레버리징 정책을 포기하고 전면적인 완화 기조로 선회할 경우 중국의 부채 문제가 심화될 수 있다는 인식이 깔려있다. 최근 정부업무보고에서는 올해 통화정책이 경제성장 지원을 위해 완화적 기조로 운용될 계획이나 대규모 유동성 공급은 없을 것임을 강조하기도 했다.
보고서는 "중국이 수출 의존도는 낮추고 내수 기반은 확충하는 방식으로 성장구조를 전환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밖으로는 기술집약 산업을 육성해 아시아 역내 가치사슬에서 상위 단계로 발전을 시도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면서 "중국 경제의 성장세 감속에 대한 과도한 우려보다는 앞으로 전개될 중국의 성장구조 전환 및 대외협력 방식 변화 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며 "대외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아질수록 중국의 소비시장 확대정책은 강화될 것이므로 이를 공략하기 위한 우리 기업의 선제적인 경쟁력 확보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지속과 중국의 무역부문 정책 변화 등을 염두에 두고 글로벌 수출전략을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이다.
보고서는 "성장구조 전환 과정에서 중국경제가 상당기간 높은 불확실성에 노출될 것"이라며 "주요 리스크 요인에 대해서는 면밀한 모니터링을 지속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