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GDP 대비 가계부채 적신호..."신흥국 평균 웃돌아"

2019-01-23 17:04
IIF "한국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96.9%"
BIS "韓가계부채 증가속도, 세계 2위 수준"

[그래픽=연합뉴스]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수위에 대한 경고가 잇따르고 있다. 가계부채가 높을수록 글로벌 경제 둔화 같은 외부 요인에 대한 충격이 클 수밖에 없는 만큼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국제금융협회(IIF)가 최근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3분기 말 기준 신흥국 가계부채는 12조1000억 달러(약 1경 3649조원)로 2016년 이후 약 3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체코, 인도, 멕시코, 말레이시아 등은 2016년 이후 증가율이 20%를 넘어섰다는 분석이다. 특히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6.9%로, 신흥국 평균 수준을 웃돈 것으로 파악됐다. 글로벌 평균치(59.6%)보다 높은 수준이다.

앞서 6일 국제결제은행도(BIS)의 조사 결과에서도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는 상위권에 올랐다. 작년 2분기 말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6.0%로, 관련 통계가 있는 43개국 중 7위를 차지했다. 1위와 2위는 스위스(128.8%)와 호주(121.3%)가 각각 차지했다. 

가계부채 비율이 상승한 속도는 더욱 가팔랐던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전 분기 대비 0.8%포인트 상승했다. 중국(1.0%포인트)에 이어 두 번째로 빠른 속도다.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의 분석기관인 무디스 애널리틱스는 "가계부채가 급증함에 따라 신흥시장 가운데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수준이 가장 높아졌다"며 "금리 등의 경제 충격에 대한 노출도가 크다"고 지적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가계부채에 따른 경제 충격에 많이 노출된 국가로는 한국 외에도 말레이시아, 태국, 호주, 중국 등을 거론했다. 

무디스는 "이들 국가의 가계부채는 주로 주택자금 대출과, 자동차 구매자금 대출, 개인 대출 등으로 구성됐다"며 "높은 가계부채는 실업 등을 유발할 수 있는 경제 활동 둔화 등의 충격에 더욱 취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다만 무디스는 "한국의 경우 규제 당국이 2017년부터 대출 조건을 조이면서 일부 위험을 완화하고 있다"고 진단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