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동 걸린 수소경제, 6년 뒤 '반값 수소차' 달린다
2019-01-17 15:19
소수경제로 年 '43조원 부가가치·42만개 일자리' 창출
이를 위해 현재 2000대 수준인 수소차 누적 생산량을 2040년 620만대(내수 290만대, 수출 330만대)로 늘리고, 14곳에 불과한 수소충전소도 1200곳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수소차 가격도 2025년 현재의 절반가량인 3000만원으로 낮춘다. 수소경제에 가속페달을 밟아 2030년 수소차와 수소연료전지에서 세계 1위를 차지한다는 청사진도 제시했다. <관련 기사 3면>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수소경제를 위한 정부의 의지는 확고하다"며 "국가 에너지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바꾸면서 신(新)성장동력을 마련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밝혔다.
이어 "수소경제는 에너지원을 석탄과 석유에서 수소로 바꾸는 산업구조의 혁명적 변화"라며 "전통 주력산업인 자동차·조선·석유화학과 연계해 수소경제를 선도해갈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가 수소경제에 드라이브를 건 것은 반도체 산업을 빼면 사실상 '역성장' 수준인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로잡겠다는 의지를 담았다. 수소경제를 '포스트 반도체'이자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본 것이다.
단계적 로드맵도 공개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까지 수소차 1824대를 생산, 절반이 넘는 935대를 수출했다. 올해는 4000대, 2022년 8만1000대, 2030년 180만대 등으로 빠르게 늘어날 것"이라며 "누적 1조원 수준인 경제적 효과는 2030년 25조원, 이후에는 더 규모가 커질 것"이라고 밝혔다.
수소경제를 통한 대·중소기업 및 민·관 상생 방안도 제시했다. 문 대통령은 "수소경제는 완성차 업체는 물론 연관 기업, 연구개발 인재들에게도 새로운 먹거리 분야"라며 "벌써 300여개의 국내 부품업체가 개발과 생산에 참여하고, 수소 생산과 저장·운송 분야에도 다수의 중소·중견기업이 참여하고 있다"고 했다.
미세먼지 대책과의 연계성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수소차는 주행 중 대기의 미세먼지를 정화하는 효과까지 있다"면서 "2030년까지 정부의 목표대로 수소차가 보급되면 연간 3만t, 현재 발생량의 10%에 해당하는 미세먼지를 줄이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문 대통령은 신년 들어 첫 지역경제 투어인 이날 행사를 마친 뒤, 수소 생산업체인 ㈜덕양 3공장을 방문했다. 문 대통령의 지역경제 투어는 지난해 10∼12월 전북 군산, 경북 포항, 경남 창원에 이어 네번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