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준호의 BIZ JAPAN] 막 내린 日 반도체 대국의 꿈

2018-06-09 15:42

전자대국 일본이 디스플레이에 이어 반도체 사업까지 내려놓게 됐다. 도시바는 지난 1일 1년 넘게 끌어온 반도체사업 매각 작업을 완료했다. 이제 도시바의 반도체 자회사 도시바메모리는 미국 투자펀드 베인캐피탈이 이끄는 한·미·일 연합 산하로 들어갔다.

일본은 도시바가 반도체사업을 매각했지만, 아직 40%에 달하는 주식을 도시바가 보유하고, 의결권의 과반을 일본 업체들이 확보했다는 점을 위안으로 삼는 분위기다. 막판에 일본 광학기기 업체 호야(HOYA)가 출자에 참여하기로 하면서 일본기업의 도시바메모리 출자비율도 50.1%를 유지할 수 있게 됐다.
 

도시바 메모리 아메리카 자료 사진 


일본 경제가 호황을 누리던 1990년, 전 세계 반도체 사업의 주도권은 일본기업이 쥐고 있었다. 당시 세계 반도체기업 매출 상위 10개사에 NEC, 도시바, 히타치제작소, 후지쓰, 미쓰비시전기, 마쓰시타전기산업(파나소닉) 등 6개 일본기업이 이름을 올렸을 정도다.

그러나 2017년 반도체기업 매출 상위 10개사에 이름을 올린 기업은 도시바가 유일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인텔, 마이크론테크놀로지, 퀄컴, 웨스턴디지털이 일본기업을 밀어내고 그 자리를 차지했다.

일본 반도체기업의 경쟁력이었던 고성능 DRAM은 치열한 가격경쟁을 이겨내지 못해 도태됐다. 재기를 노린 NEC, 히타치, 미쓰비시가 DRAM 사업부문을 통합한 엘피다메모리(Elpida)를 출범시켰지만 2012년에 파산했다.

일본 반도체기업들이 시장 재편의 소용돌이에 휘말렸을 때도 도시바는 살아남았다. 전원이 끊겨도 저장된 정보가 지워지지 않는 기억장치 플래시메모리에서 압도적인 기술력을 보유했기 때문이다. 그랬던 도시바도 반도체사업을 매각하는 신세가 됐다.
 

전자대국 일본을 이끌어 온 디스플레이와 반도체 산업이 이토록 처참하게 무너져 내린 이유는 무엇일까.

그 원인을 기업의 인사제도에서 찾는 흥미로운 분석이 있다. 치열한 시장경쟁에서 밀리기 시작한 일본 전자기업들이 디스플레이와 반도체 부문을 축소하자 기술자들은 바다를 건너 외국기업에 재취업하는 길을 택했다. 대부분이 한국, 대만, 중국 등 경쟁사의 문을 두드렸다. 인력유출이 결국 기술유출로 이어져 해외 경쟁사를 이롭게 하는 결과를 초래했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도시바, 히타치, NEC, 후지쓰, 소니 등 일본 전자기업에서 한국과 대만, 중국기업으로 자리를 옮긴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기술자들을 만나 이직 사유를 물었더니 “내가 가진 기술과 경험을 살려 활약할 수 있는 곳을 찾아간 것일 뿐”이라는 대답이 많았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 이들은 “일본기업은 리스크를 회피하기 위해 도전하는 사원들을 멀리한다”, “파벌로 출세하는 게 일본기업”이라는 등 쓴소리를 쏟아냈다.

40세가 넘은 기술자를 일선 현장에서 관리직으로 이동시키는 인사도 문제로 지적됐다. 55세가 되면 정년퇴직해야 하는 상황도 기술자들의 사기를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결국 경쟁사들이 일본기업의 인사제도에 실망해 바다를 건너간 일본인 기술자들을 받아들이며 기술력을 흡수해왔다”면서 “일본기업이 좀 더 탄력적인 인사제도를 갖췄더라면 우수한 기술자들의 유출을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도시바 메모리 아메리카 자료 사진 


기술자 유출의 원인은 인사제도뿐만이 아니다. 기술자들의 보수도 중요한 이직 요소로 꼽혔다. 신입사원을 공채방식으로 일괄 채용하는 일본기업의 급여는 근속연수에 따라 획일적으로 오르는 구조다. 성과에 대한 보수도 적다. 유망한 기술특허를 취득해도 관례적으로 지급하는 성과급이 전부다. 국제행사에서 알게 된 미국과 한국기업의 기술자 우대제도에 부러움을 느낀 일본 기술자들도 많았다.

경영진의 반도체에 대한 무지도 일조했다. 10년 단위 계획을 세워 착실히 투자할 수 있는 인프라사업, 2~3년 후 시장 전망이 가능한 가전사업과 달리 3개월 앞을 내다볼 수 없는 게 바로 디스플레이와 반도체사업이다. 현장의 기술자들은 “경영진이 반도체에 대한 이해도가 낮아 연구개발과 설비투자에 대한 판단을 신속하게 내리지 못했기 때문에 일본 반도체산업이 경쟁력을 잃게 된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도시바메모리에서 삼성전자로 이직한 미야모토 준이치 교수는 니혼게이자이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삼성전자는 수장이 결단을 내리면 현장이 일제히 움직인다"며 “삼성전자의 인재등용과 투자, 부문별 조정 방식은 일본기업이 따라 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어쨌든 일본은 도시바의 간판은 지켜내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도시바 간판을 지키기 위해 지불해야 할 대가는 너무 크다. 도시바메모리를 인수한 한·중·일 연합에는 고배당을 요구하는 펀드와 이자 수익을 노리는 은행들이 줄을 섰다. 배당과 이자지급만으로 수천억원에 달할 것이라는 추산도 나온다. 도시바메모리가 올린 수익이 배당과 이자에 집중적으로 지급되는 구조 속에서 제대로 된 투자가 이뤄질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