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으로 보는 구본무 LG 회장의 '끈기와 집념의 역사'

2018-05-20 12:23
LG를 명실상부한 세계적 기업으로 성장시킨 주역

구본무 LG 회장[사진=LG 제공]


LG의 창업주는 구인회 회장이지만, 글로벌 창업주는 20일 타계한 구본무 회장이라는 게 재계 평가다.

고(故) 구본무 회장은 LG를 명실상부한 세계적 기업으로 성장시킨 주역이다.

LG그룹 창업주인 구인회 회장의 손자이자 구자경 LG 명예회장의 장남인 그는 1995년 2월 22일 LG 회장으로 취임한 이후 전자, 화학, 통신서비스 등 3대 핵심 사업군을 집중적으로 육성했다.

또 자동차부품, 차세대 디스플레이, 에너지, 바이오 등 이른바 성장사업에 LG가 적극적인 투자를 아끼지 않은 것도 구 회장의 의지가 반영됐다.

실제 구 회장 임기 중 LG그룹의 매출은 30조원대(1994년 말 기준)에서 지난해 160조원대로 5배 이상, 해외 매출은 약 10조원에서 약 110조원으로 10배 이상 신장했다.

임기 중 GS그룹과 LS그룹, LIG, LF 등 굵직한 기업군을 연이어 계열분리 한 뒤 거둔 성적임을 고려하면 놀라운 성과다.
 

1995년 2월 22일 LG 회장 이취임식에서 구본무 신임 회장이 LG 깃발을 흔들고 있다[사진=LG 제공]


연세대 재학 중 미국으로 유학해 애쉬랜드대학과 클리블랜드주립대 대학원에서 각각 경영학을 전공한 뒤 귀국, 1975년 ㈜럭키에 입사하는 것으로 기업 활동에 첫발을 내디뎠다.

이후 과장, 부장, 이사, 상무, 부사장 등의 직위를 차례로 거치면서 럭키와 금성사의 기획조정실 등 그룹 내 주요 회사의 영업, 심사, 수출, 기획업무 등을 두루 섭렵하며 다양한 실무경력을 쌓았다.

특히 1985년 이후 그룹 기획조정실에서 전무와 부사장의 직책을 맡아 그룹경영 전반의 흐름을 익히는 기회를 가졌고, 1989년 그룹 부회장으로 승진하면서 경영 수업을 본격화했다.

회사 생활을 시작한 지 20년 만인 1995년 그룹의 회장직을 승계받았다. 
 

1995년 10월 구 회장(왼쪽 두 번째)과 허창수 당시 LG전선 회장(왼쪽세 번째)이 LG전자 평택공장을 찾아 라인을 점검하고 있다.[사진=LG 제공]
 

 

1996년 10월 구 회장(왼쪽 첫 번째)이 LCD공장을 방문해 생산제품을 점검하고 있다[사진=LG 제공]


구 회장은 LG를 세계적인 전자회사로 성장시키며 한 시대를 풍미했지만 생전에 '한'으로 남은 것이 반도체 사업의 꿈을 중도에 접은 것이다.

구 회장은 1989년 5월 금성일렉트론을 설립하면서 반도체 사업을 시작했다. 금성일렉트론은 1995년 LG반도체로 상호를 바꾸고 이듬해에는 상장도 했다.

이후 LG반도체는 '국내 최초', '세계 최초'라는 수식어가 달린 D램 등 메모리 반도체를 개발하며 성장했고, 반도체 사업을 그룹의 미래 신수종 사업으로 여긴 구 회장은 LG반도체에 대한 강한 애착을 숨기지 않았다.

1990년대 중반 반도체 호황기를 맞아 회사는 고속성장했으나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 사태 이후인 1998년 정부가 '재벌 빅딜'에 나서면서 자리가 위태해졌다.

구 회장은 반도체 사업에 끝까지 애착을 보이며 LG반도체를 지키려 했으나 결국 1999년 7월 회사를 현대그룹에 넘기게 됐다.
 

2004년 3월 LG디스플레이(前 LG필립스 LCD) 파주공장 기공식에 참석한 구 회장(오른쪽 세번째)[사진=LG 제공]


구 회장은 1998년 말 당시 LG전자와 LG반도체가 각각 운영하던 LCD사업을 하나로 모아 LCD 전문기업인 ‘LG LCD’를 설립했다.

IMF 구제금융으로 나라 전체가 어려웠던 시기에 대규모 장치산업인 디스플레이 사업에 전격 투자하는 승부수를 던졌다.

결과적으로 당시의 투자는 세계 디스플레이 시장 1위 기업인 LG 디스플레이를 만드는 시작점이 됐다.
 

2011년 2월 구 회장(오른쪽)이 LG화학 오창 전기차배터리 공장을 찾아 생산라인을 점검하고 있다.[사진=LG 제공]


중대형 배터리 부문에서 세계 1위로 올라선 LG화학의 2차전지 역시 뚝심과 끈기의 산물이다.

1991년 당시 부회장이었던 구 회장은 미래 신성장동력을 고민하던 중 영국 출장길에 충전을 통해 재사용이 가능한 2차전지를 접했다.

이후 당시 럭키금속에 2차전지를 연구하도록 지시했고, 1996년에는 전지 연구 조직을 LG화학으로 이전해 10년 넘게 연구에 공을 들였다.
 

2002년 10월 구 회장이 전기차배터리 개발을 위해 만든 시제품을 테스트하고 있다.[사진=LG 제공]


현간 수천억원에 달하는 적자가 쌓이는 등 성과가 나오지 않자 그룹 안팎에서는 ‘사업을 접자’는 의견이 터져 나왔다.

하지만 구 회장은 단호했다. 현재 LG화학은 중대형 배터리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2차전지 시장을 선도하는 업체가 됐다.
 

2015년 12월 마곡 LG사이언스파크 건설 현장에서 구 회장(가운데)과 하현회 ㈜LG 부회장(오른쪽)이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사진=LG 제공]


구 회장이 마지막으로 깊은 애정을 기울인 건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 프로젝트다.

4조원을 투자해 2만2000명의 연구인력이 집결해 국내 최대 규모의 융복합 연구단지를 만들겠다는 꿈을 꿨다.

“마곡에서 수만 명의 젊은 인재를 육성해 기술들과 산업 간의 융복합을 이루겠다”던 구 회장의 꿈은 2020년 완성된다. 마지막 꿈을 불과 2년 앞두고 그는 눈을 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