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빚 증가세, GDP 넘길 듯···금리 인상기 대출 취약층 어쩌나
2018-03-18 19:00
전세계 가계부채 비율순위 7위
비은행 대출 이용자 이자 큰 짐
비은행 대출 이용자 이자 큰 짐
우리나라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됐음에도 국내총생산(GDP)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성장세보다 빚이 더 빠르게 증가한 결과다. 이는 가계가 빚을 갚을 여력이 더 줄었다는 의미다.
18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한국은 지난해 3분기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94.4%를 기록했다. 2014년 2분기부터 14개 분기 연속 상승이다.
한국보다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높은 국가는 스위스(127.6%), 호주(120.9%), 덴마크(116.8%), 네덜란드(106), 노르웨이(102%), 캐나다(100.4%)다.
이처럼 우리나라 가계빚이 급증한 것은 2014년 박근혜 정부 때 대출규제를 대폭 완화함과 동시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다섯 차례에 걸쳐 인하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가계의 빚(사채 제외)을 뜻하는 가계신용의 연간 증가율도 매년 늘고 있다. 2013년 5.7%였지만 2014년 6.5%, 2015년 10.9%, 2016년 11.6%까지 확대됐다.
소득 증가 대비 빚이 늘어나는 속도가 빠른 탓에 가계의 부담은 더 커졌다. 소득 대비 부채 원리금 상환부담을 나타내는 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은 12.7%로, 2015년 2분기부터 매 분기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DSR 상승폭은 17개국 중 가장 높다. 아울러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55.5%로, 2014년 1분기 131.7%에서 매 분기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문제는 금리 인상기에 돌입했다는 점이다. 금리가 오르면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기 어려워질 뿐 아니라 이자 부담도 커진다. 때문에 신규 가계대출은 일정 부분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이미 대출을 받은 사람들은 상황이 다르다. 갚아야 할 이자가 늘어나는 탓이다. 특히 저소득층과 금리가 높은 비은행 대출을 많이 받은 가계의 부담이 커질 우려가 있다. 변동금리 대출을 받은 가계도 비상이다. 지난해 말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중 변동금리 비중(잔액 기준)은 66.8%에 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