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일자리 감소 전망, 뒤집혔다...2030년 일자리 12만개 늘어

2018-03-08 16:12
4차 산업혁명 선제적 대응·연평균 경제성장률 3%대 유지 가정
경비·택배원 등 단순노무직, 10명 중 2명 일자리 대체

기준전망과 혁신전망의 취업자 수 변화(천명)[자료=고용노동부]


우리나라가 4차 산업혁명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면 2030년까지 일자리가 총 12만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인공지능(AI)·로봇 등이 일자리를 대체, 고용이 줄어들 것이라는 이전 전망과 달라 주목된다.

고용노동부는 8일 열린 4차 산업혁명위원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6~2030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인력수요 전망’을 발표했다.

전망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 이후 국내·외 환경변화에 적극 대응해 경제와 산업구조를 혁신할 경우(혁신전망) 기준전망 대비 2030년 증가하는 일자리는 92만개, 감소하는 일자리는 80만개로 오히려 일자리가 12만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연평균 경제성장률도 △2017~2021년 3.1% △2022~2026년 2.9% △2027~2030년 2.8% 등으로 꾸준히 유지될 것으로 예상됐다.

업종별로는 사물인터넷·블록체인·3D프린터·드론 등을 활용한 정보통신서비스업, 보건·복지서비스업, 전기·전자·기계산업, 전문과학기술 서비스업 등의 취업자 수가 46만명 증가할 것으로 봤다.

반면 도소매, 숙박·음식점, 금융업 등은 취업자 수가 34만명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구체적으로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 일자리 59만명 △경영 및 회계 관련 사무직 41만8000명 △공학전문가 및 기술직 22만8000명 △문화·예술·스포츠 전문가 및 관련직 21만5000명 등으로 늘어난다.

이와 반대로 △농·축산 숙련직 24만3000명 △운전 및 운송 관련직 11만8000명 △매장판매직 10만8000명 등은 줄어든다.

특히 경비·택배원 등 단순노무직 10명 중 2명 꼴로 일자리가 사라질 것으로 예상됐다. 전문가들은 2030년까지 기술발전·자동화로 일자리 대체가 약 18.5% 수준이 될 것으로 봤다.

정부는 4차 산업혁명이 인구고령화와 생산가능 인구 감소에 따른 저성장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이 될 것으로 판단했다.

고용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20대(20~29세)청년 생산인구는 약 645만명, 2030년이 되면 453만명으로 약 192만명 줄어든다.

신욱균 고용부 미래고용분석과장은 "4차 산업혁명은 인구고령화 및 생산가능인구 감소에 따른 저성장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며 "다만 산업과 고용, 직업구조 등에 큰 변화가 예상되는 만큼 중장기적 관점에서 체계적인 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4차 산업혁명 생태계 조성을 위한 규제 개혁,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인적자본에 대한 과감한 투자, 새로운 고용형태 증가에 대비한 사회안전망 확대, 사회적 합의 기구 활성화 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