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김여정 방남' 후속대응 논의…한미·한중 '핫라인' 가동
2018-02-12 17:14
문 대통령 주재 현안점검회의 개최
북한 고위급 대표단의 방남 이후 남북 대화 모멘텀을 살려 북·미 대화로 이어나가기 위해 청와대가 외교적으로 어떤 후속조치에 나설지 주목된다.
청와대는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문재인 대통령의 방북을 초청한 데 따른 '여건 조성'을 위해 주변 4강(强)의 지지를 확보하는 노력과 함께 북·미 간 대화를 '중재'하는 데 역량을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문 대통령은 지난 10일 김 위원장의 방북 요청에 “여건을 만들어 성사시키자”고 답한 뒤 북한 대표단에게 “북·미 대화에 적극 나서 달라”고 당부한 바 있다.
청와대는 12일 오전 문 대통령 주재로 현안점검회의를 갖고, 북한대표단 방남 이후 후속조치를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당장 별도의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기보다는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중심으로 북한과 주변국들의 동향을 봐가며 다각적이고도 신중한 대응전략을 수립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문 대통령이 조만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 간 전화통화를 가질 것으로 관측된다. 청와대 관계자는 "아직 한·미 정상 간 통화는 계획한 바가 없다"고 말했다.
마이클 케이비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대변인은 11일(현지시간) "우리는 북한과 미국이 대화를 해야 한다는 문 대통령의 요청을 지지한다"면서도 "여기에는 한반도 비핵화가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 미국과 한국은 남북 간의 진척이 비핵화 진전과 병행되도록 압박 최대화를 통해 계속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청와대는 아울러 그동안 북핵 문제에 대한 대화와 협상을 지지해온 중국과도 작년 12월 합의한 '정상 간 핫라인'을 가동해 조기에 북·미 대화가 성사될 수 있도록 지원 역할을 해줄 것을 촉구할 것으로 전망된다. 청와대는 한·미 정상통화와 마찬가지로 문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간 통화 계획은 잡히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청와대는 이 밖에 일본과 러시아를 상대로도 남북관계 개선과 북·미 대화 주선을 통해 한반도 평화구조를 정착시켜 나가려는 우리 정부의 노력을 지지해 달라며 이해와 협력을 구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는 또 ‘포스트 평창’ 이후 한반도 정세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북한의 태도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가까운 시일 내 답방 차원의 대북 특사 파견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여권 내에서는 문 대통령의 의중을 정확히 대변할 수 있는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과 서훈 국정원장, 조명균 통일장관 등이 특사 카드로 거론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