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수의 헬스전망대]신약기술이전, 성장통인가 한계인가
2018-01-24 10:05
최근에도 제넥신·한올바이오파마·동아에스티 등이 신약기술이전 계약에 성공하면서 증권가의 주목을 받았다. 또 이달 초 국내제약사들은 미국에서 개최된 대규모 행사인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 참가해 신약개발 성과를 홍보하고 투자 유치에 열을 올렸다.
신약기술이전 계약은 이제 막 신약 연구·개발(R&D)에 나선 국내제약사들이 비교적 조기에 성과를 확보할 수 있는 전략 중 하나다. R&D 경험과 투자자금이 부족한 국내 제약사들은 그간 쌓아온 신약 성과를 하나 둘 글로벌 기업에 고가로 판매해 최대 실리를 챙기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들이 신약후보물질을 남에게 넘기면서 자체 신약으로 완성시키지 않는 것은 자금·자원이 R&D 규모에 크게 못 미치고 있어 개발부담이 적잖기 때문이다. 글로벌 시장 분석에 따르면 글로벌 신약 1개를 개발하는 데 평균 13년간 8억 달러(약 8550억원)가 소요되는 것으로 추산된다. 현재 국내 제약사들은 평균적으로 매출액의 총 10%가량을 다수 신약후보물질 R&D에 투자하고 있지만, 각 물질로 놓고 보면 투자에 한계가 있다.
신약이 갖고 있는 시장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도 이유다. 경험과 자금이 충분한 해외기업을 통해 개발기간을 줄이고 출시시기를 당기면 제품 경쟁력에 유리하다. 자칫 개발에 차질이 빚어져 신약으로서의 가치를 잃게 되면 기업뿐만 아니라 치료 가능한 환자에게도 불리하다.
때문에 제약사들은 ‘신약개발-기술이전-수익-재투자-신약개발’이라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한 후에 자체 개발 신약을 완성해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해 나가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런 점에서 기술이전은 신약개발에 이제 막 나선 국내 제약사들로선 ‘과도기’이자 ‘성장통’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 나오는 우려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 신약개발은 기본적으로 성공 가능성이 낮거니와, 개발 가능한 범위는 줄어들고 기준은 엄격해지고 있다. 자체 개발 신약을 서둘러 확보하지 않는다면 성장 동력을 잃게 될 수도 있다.
이미 자금력을 갖춘 대규모 다국적제약사들이 신약후보물질 개발보다는 시장성이 충분한 물질을 사들이는 것에 주력하고 있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들은 구매한 후보물질을 신약 출시로 연결해 대규모 수익을 얻고, 또 다른 신약후보물질을 손에 거머쥐고 있다.
기술이전이 국내 제약사 신약개발 추세에 ‘한계’로 자리매김해서는 안 된다. 신약 하나는 한 제약사를 글로벌 기업으로 이끌 수도 있다. 기회는 위기에서부터 나온다고 했다. 성공한 후발주자에게 과감한 도전기 하나쯤은 있기 마련이지 않나. 여기에 정부 지원이 더해진다면 그 발걸음이 한결 가벼워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